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세포생물학 연구에 이용되는 마이크로흐름 디바이스

전문가 제언
○ 마이크로흐름 디바이스는 현재 세포생물학 연구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거시적 생물시스템을 소형화하고 많은 평행적 과정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어 마이크로흐름 칩은 생물학적 실험에서 높은 생산성을 보인다.

○ 마이크로흐름계에서 마이크로미터의 크기를 가지는 층류는 세포보다 작은 공간의 해상력을 가지고 액체조성의 공간적 조절, 빠른 반응, 온도변화와 단일세포의 취급과 분석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므로 마이크로흐름 기술은 거시적 장치를 사용하여 도달할 수 없는 실험조건 하에서는 달성할 수 없었던 단일세포로부터의 시그널도 모니터링 할 수 있게 됨으로서 생물학 실험분야의 큰 발전을 가능하게 하였다.

○ 마이크로흐름 장치는 1990년대 초반에는 실리콘을 기질로 사용하여 구축되었으나 이의 구축을 위해서는 무진실을 필요로 한다. 1990년대 중반에 이르러 고분자의 몰딩기술을 이용하여 유연한 리소그래피 기술이 마이크로흐름 장치의 구축에 도입되어 엘라스토머인 폴리(디메틸실록산)를 몰딩하여 마이크로흐름 장치를 구축하는 방법이 주류를 이루게 되었다.

○ 폴리(디메틸실록산)는 투명하고 생체적합성을 가지고 있으며 값이 싸며 레플리카는 유리커버슬립에 공유결합으로 연결될 수 있을 뿐 아니라 기계적 센서를 구축할 수 있는 변형성과 가스가 투과할 수 있는 엘라스토머로서 포유류 세포배양에 필요한 산소교환이 가능하다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수증기를 통과시키므로 흐름계의 삼투압의 변화와 건조를 가져온다는 단점도 가지고 있으나 현재 마이크로흐름 디바이스 구축에 가장 적합한 재료로 간주되고 있다.

○ 현재 국내에서도 마이크로흐름 칩은 임상의학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앞으로도 다양한 진단용 디바이스의 개발이 요청되는 분야이다. 본고에서는 폴리(디메틸실록산)를 재료로 하여 리소그래피법으로 구축된 마이크로흐름 디바이스에 관련된 최근의 연구결과에 대하여 바이오의학 뿐 아니라 고분자재료 연구자들의 지속적인 관심이 요청된다.
저자
Guilhem Velve-Casquillas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0
권(호)
5(1)
잡지명
Nano Today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28~47
분석자
마*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