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근골손상에 줄기세포의 홈잉

전문가 제언
○ 성체조직이 상처를 받으면 이를 수선하고 재생시킬 수 있는 세포가 있으며 최근 연구에서 이러한 줄기세포와 같은 세포가 골수에서 전구세포로써 공급되고 조직수선에 공헌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중간엽기질세포(MSC)도 이러한 상처신호에 반응해서 이동하며 회복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MSC는 흔히 다능 간엽기질세포, 간엽줄기세포, 혹은 골수기질세포로 알려져 있으며 MSC에 대해 현재 알고 있는 것은 거의가 실험실에 나타는 특성이고 그 생체에서 원래의 위치나 기능은 잘 알지 못한다.

○ 인체조직은 상해를 받았을 때 재생능력을 가지고 있지만 상처의 정도 나이 등 여러 가지 경우에 따라 원래대로 회복이 쉽지가 않다. 근골의 상해를 치료하는 일은 위험이 따르는데 MSC를 상처부위에 모이게 해서 재생에 관여하도록 하는 길을 모색하고 있으며 환자의 상처부위에서 MSC를 수확해서 증식한 후 다시 환부에 공급하는 전략을 연구하고 있다.

○ 이 MSC가 분화도 하고 시토카인을 생산하는 것으로 보고 있으며 이러한 반응은 가지고 있는 자체 MSC외에 외부에서 MSC를 전신적으로나 상처부위에 공급해서 작동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정상적인 조직회복에 필요한 이러한 세포가 상처받은 곳에서만 고급되기는 한계가 있을 것으로 MSC를 소통시키는 연구를 통해 새로운 치료수단을 제안한다.

○ 이 리뷰에서는 주로 근골의 재생에 있어 내인성의 MSC가 이동하고 수선에 어떻게 관여하는지를 검토하고 있으며 실제로 MSC를 특정한 조직 세포로 분화하지 않은 세포로 상처부위에 자연적으로 보충되고 수선에 관여하고 있음을 확인하고 있다. 그리고 MSC를 외부에서 상처부위에 공급함으로써 치료효과도 보고 있다. 국내에서도 조직재생과 줄기세포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재생이 잘되는 골과 피부 등에서 MSC 연구에 관심을 가졌으면 한다.


저자
Eliza L.S. Fong, Casey K. Chan, Stuart B. Goodman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1
권(호)
32
잡지명
Biomaterials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395~409
분석자
강*원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