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 간부전증
- 전문가 제언
-
○ 간은 우리 몸에 대사기능에 중요한 장기이며 재생력이 높은 장기중의 하나이다. 급작스럽게 간세포가 대량으로 파괴되어 간 기능이 감소하여 급성 간 부전으로 이어질 수 있다. 급성 간부전증은 원인에 관계없이 갑작스런 간 기능의 장애로 황달, 혼수, 응고장애 등의 간부전 증세와 신장 및 폐 기능의 장애, 위장출혈, 감염 등의 전신적인 장기기능장애로 사망에 이르는 질환 군이다. 급성 간부전증 환자는 대부분 건강한 사람에서 특정원인에 노출된 후 대개는 8주 이내에 의식장애가 나타나게 되는데 황달이 발생한 후 의식장애가 나타날 때까지의 기간에 따라 초급성, 급성, 아급성으로 구분하고 있다.
○ 급성 간부전은 흔하지는 않은 병이나 사망률이 높고 비용이 많이 든다. 나라마다 그 원인이 다르지만 많은 나라에서 E형 간염과 A형, B형도 연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개발도상국에서는 바이러스가 주된 원인으로 알고 있다. 미국과 서구사회에서 지난 수년간 바이러스에서 오는 급성 간부전은 감소하고 있으나 paracetamol(해열 진통제)와 같은 약물에서 유도되는 간 손상에서 오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많은 경우는 그 원인을 알지 못한다.
○ 급성 간부전은 여러 기관으로 점차 빠르게 손상을 일으키므로 간세포가 재생하여 정상적인 기능으로 회복될 때까지 간 기능을 보조하고 합병증을 막는 것이 최선이나 내과적 치료에도 불구하고 상태가 악화될 경우 간이식을 시행할 수밖에 없으며 응급 간이식으로 개선을 보이고 있다. 미국에서 발표된 결과는 약 40% 정도의 환자가 내과적 치료로 회복되었으며 25% 의 환자는 간이식으로 회복되었고 나머지는 간이식을 받지 못하고 내과적 치료도중 사망하였다. 그러나 국내에서 간부전은 바이러스 형과 독성 물질에 원인이 많아서 내과적 치료만으로 회복가능성이 낮으며 간 이식이 늘어나는 것으로 알고 있다. 국내 여려 대형병원에서도 간이식기술은 세계적인 수준으로 간주하고 있으나 수혜자보자 기증자가 없어 어려움을 겪고 있다.
- 저자
- William Bernal, Georg Auzinger, Anil Dhawan, Julia Wendon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10
- 권(호)
- 376
- 잡지명
- The Lancet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190~201
- 분석자
- 강*원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