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동 Tennessee주 카르스트와 파쇄암 대수층 중의 바이러스와 박테리아
- 전문가 제언
-
○ 산업발달과 인구증가로 말미암아 폐기물 발생량 증가와 유류, 농약 및 화학물질 등의 사용량 증가로 토양 및 지하수 오염이 심각한 수준에 와 있다. 이러한 오염물질을 정화할 목적으로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및 열적 정화기법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다.
○ 오염물 기준의 또 다른 분류는 미생물 오염이다. 음용수의 안정성 점검을 위해, 특정 병원균에 대한 개별 시험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실험을 정기적으로 하기는 어려워, 기준으로 사용할 수 없다. 그 대신 간단한 시험 기준으로서 물에 오염되었다는 단서를 제공하는 대장균군(coliform bacteria)을 기준으로 사용하며, 특히 대장균(Escherichia coli)을 지표(indicator)로 사용하고 있다.
○ 깨끗한 음용수가 공중보건에서 차지하는 중요성 때문에, 음용수 안전기준을 확립하기 위하여 객관적인 검사방법이 요구된다. 일상적인 검사에는 Salmonella, Shigella와 같은 실제 장내 병워균의 검출은 어렵고 불확실한 작업이 될 수 있다. 대신에 음용수의 세균학적 검사는 소위 지표세균이 얼마나 존재하는가를 측정함으로써 간단하게 물 시료가 대변에 의해 오염되었는가의 여부를 추측하다.
○ 이 연구는 바이러스 발생의 조사와 관련되는 일부 도전을 강조하고 있다. 또 이 연구는 동 테네시 카르스트 대수층이 펜실베이니아(8%). 미주리의 Ozark 지방(<1%) 또는 미국 EPA(43%)에 의해 수행된 국가 미생물 수질조사에서 포함된 몇몇 다른 주의 연구에서 이전에 관측된 것보다 더욱 광범위함을 시사하고 있다.
○ 우리나라에서 대수층 및 지하수 관련연구는 10년 전까지만 해도 거의 그 사례를 찾을 수 없을 정도로 미미하였다. 이는 기본적으로 유해 폐기물로 인해 파생되는 제반 위해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매우 낮았고, 토양오염이나 지하수 오염과 관련한 정부 차원의, 또는 상업적인 기술수요가 전무하였기 때문이다.
- 저자
- T.B. Johnson, L.D. MacKay, A.C. Layton,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1
- 권(호)
- 49(1)
- 잡지명
- Ground Water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98~110
- 분석자
- 유*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