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주조불량 저감을 위한 다이캐스팅 금형의 딤플가공 기술

전문가 제언
○ 다이캐스팅은 용융된 Al합금, Zn합금 및 Mg합금 등을 금형내로 압입하여 주조하므로 정밀도가 높고 주물표면이 우수한 제품을 높은 생산성으로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이다. 그러나 용탕의 흐름이나 응고시간의 차이로 표면결함이 대량 발생하는 것이 문제다.

○ 일본의 주조장치 전문 제조업체인 Shinto kokyo, 다이캐스팅 제품 전문생산업체인 Mino Industry 및 Mizutani Sankyo에서는 다이캐스팅 금형 표면에 특수 딤플(dimple)을 에어 블라스트로 가공하여 다이캐스팅에서 만성적 문제로 되어 온 표면 불량을 대폭 감소시키게 되었다.

○ 다이캐스팅은 자동차와 전자제품을 주로 생산하여 그간 자동차산업과 전자 산업에 크게 공헌하여 왔으나 이면에는 부품 주조과정에서 많은 불량을 발생하여 시행착오를 하여온 것도 사실이다.

○ 다이캐스팅 주조과정에서 발생되는 불량 중에서 표면불량을 대폭 줄일 수 있다는 것은 매우 반가운 정보이며 특히 딤플 처리한 금형으로 생산된 Al과 Zn제품은 표면에 딤플모양이 나타나나 숏 블라스트를 하면 쉽게 제거되므로 표면을 경면으로 만드는 경우가 아니면 획기적인 방법이라고 하겠다.

○ 다이캐스팅 제품은 주조과정에서 공기의 혼입으로 열처리시 혼입된 공기의 팽창으로 블리스터(blister)가 발생하는 것이 문제였으나 표면 딤플과 최근에 새로 개발된 이형제를 거의 사용하지 않는 금형 표면처리로 과연 블리스터 발생을 얼마나 줄이고 가공면에 가공 후에 나타나는 기포는 얼마나 줄어들 것인지 궁금해진다.

○ 국내 자동차 부품만의 다이캐스팅 제품 매출은 2005년에 9,466억원(대당 약80kg)이며 2010년은 15,980억원(대당 약 150kg)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와 같이 증가하고 있는 다이캐스팅 산업에서 표면 불량을 줄일 수 있다면 대단한 금액이 절감 될 것으로 생각된다.
저자
Haiya Masa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0
권(호)
51(12)
잡지명
素形材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38~43
분석자
이*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