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바이오연료의 연소 화학

전문가 제언
○ 바이오-에탄올, 바이오-부탄올, 바이오디젤 같은 바이오연료는 이들의 재순환기능과 기후에 주는 영향 감소에 대한 장기 보장 관점에서 지금의 석유에 기초한 수송연료의 대안으로 관심을 끌고 있다. 바이오연료관련 문제점은 곡물생산과의 경쟁과 바이오연료 생산에 필요한 작물의 경작지 확보를 위한 삼림의 훼손,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공해물질 배출, 등이 논점이 되고 있다.

○ 바이오연료의 화학은, 탄화수소-산소함유물 혼합연료의 연소 과정이 다양한 분해과정과 중간체들의 재조합반응 등, 본질적으로 연료분자들의 특정 형태와 연소조건에 따라 복잡한 양상을 나타낸다. PAHs와 매연, 그리고 산소화합물의 생성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영향을 받으므로 공해물질 배출을 최소화하기 위한 전략에는 보다 많은 실험과 모델링이 요구된다. 최근의 모델이 혼합연료에 대한 일반적인 분해와 산화거동에 대한 정보를 주기는 하나 실험결과 측정되는 화학종들에 대한 화학동력학적 정보가 필요하다.

○ 바이오매스 연료의 경우, 불특정 식물과 폐기물이 원료로 사용되므로 C, H, O, N 이외의 원소들이 고려되어야 하고, 연소과정에서 온도, 압력, 화학양론, 체류시간, 등의 변화에 대한 현상학적 연소 거동들이 연구되기는 하나 배출 기체들을 평가하기 위한 연소모델에 대한 연구는 어려운 실정이다.

○ 우리나라에서는 식물유를 수입하여 석유제품과 혼합한 바이오연료가 시판되고는 있으나 바이오연료를 위한 작물의 재배는 어려운 실정이다. 바이오매스와 이를 활용하기 위한 연구와 관련 연소기술에 대한 연구는 일부 수행되고 있으나 바이오연료의 연소화학에 대한 연구는 지금까지 발표되지 않았다.


저자
Katharina Kohse-Hoinghaus, Patrick Osswald, Terril A. Cool, Tina Kasper, Nils Hansen, Fei Qi, Charles K. Westbrook, and Phillip R. Westmoreland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0
권(호)
49
잡지명
Angewandte Chemie International Edition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3572~3597
분석자
엄*윤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