엽산결핍에 의해 발생되는 질환군
- 전문가 제언
-
○폴산[folic acid]은 엽산(葉酸)이라고도 하며 수용성이며 빛에 의해 변하기 쉬운 비타민 B군의 하나로 1941년 시금치 잎에서 추출, 1945년 합성에 성공하였고 시금치·효모·간장으로부터 추출되며, 조혈(造血)에 유효한 인자로 미생물의 발육을 촉진한다. 필요량은 매우 미량이며, 고등동물은 장내 세균이 생산하는 양으로 충분하다.
○사람에게 폴산이 결핍되면 빈혈이나 혈소판 감소를 일으키고 결핍증으로는 아이의 거대적아구성 빈혈, 위장장해, 임신 때의 빈혈 인자로 알려져 있으나 식품 중에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며 장내 세균에 의해 생성되기 때문에 보통 결핍은 발생되기 어렵다. 급원으로 간, 녹황색 채소에 풍부하고 고기, 밀에도 함유되어 있다.
○폴산은 태아의 선천성 기형(신경관 결손 등) 예방에 효과적인 비타민으로 태아의 선천성 기형은 임신 후 3개월 이내에 결정되기 때문에 폴산제는 임신 3개월 이전부터 섭취해야 효과가 있다고 알려 졌다.
○폴산은 유산균의 Streptococcus faecalis R(S. lactis R) 및 Lactobacillus casei의 증식인자(SLR인자, L. casei인자)를 시금치의 자기소화액 내에 서 발견하고, 특히 임신 시에는 다량으로 소비되기 때문에 나타나는 부족 증상을 임신성 거대적아구성 빈혈로 취급하고 있고 일부 아미노산 대사, 단백질의 합성개시, 메탄생성 등에 관여하고 있다
○세계 선진각국에서는 심각한 3대 선천기형인, 구순구개열(口脣口開裂), 선천성 심(心)질환 ,그리고 정자염색체이상등의 예방대책 으로서“폴산”의 식품첨가를 진행하여 중증기형이 격감시키고 있어 우리나라도 이들 예방 대책에 관하여 정부 와 민간 기업에서 외국의 사례를 벤치 마킹 하여 계속 연구함으로서 불행한 선천 기형아의 출생을 사전방지가 요구 되었다.
- 저자
- KINOSHITA Karin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10
- 권(호)
- 52(6)
- 잡지명
- New Food Industr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47~53
- 분석자
- 이*갑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