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그네슘합금 다이캐스팅 기술
- 전문가 제언
-
○ Mg합금 다이캐스팅은 비강도와 전자파차폐성이 높아 주로 노트북이나 디지털카메라, 휴대폰 케이스 내외장재에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최근에는 에너지절감과 환경개선을 위한 자동차차체 경량화에 가속적으로 적용하려는 추세이다.
○ 「Magnesium Vision 2020」에 의하면 미국의 3대 자동차사는 자동차협력조직(USAMP)를 창립하고 자동차1대당 Mg사용량을 160㎏으로 증가시킬 것으로 발표하였다. 연간 Mg사용량은 500만 톤이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Mg다이캐스팅 부품은 주로 용탕의 유동성과 내열, 내식성이 좋은 Mg-Al-Si계가 일반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최근 Mg다이캐스팅제품은 에너지절약과 이산화탄소절감을 위한 경량자동차부품용과 이동용 휴대전화, 컴퓨터, 디지털카메라, 태블릿PC용으로 생산이 증가하고 있다.
○ 고속사출 다이캐스팅에 의한 무공성의 PF법은 용탕과 슬리브내의 공기를 산소로써 산화알루미늄(Al2O3)으로 고정화하여 기포를 제거하는 기술이다. 금형의 진공도와 금형온도, 용탕사출속도를 최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다이캐스팅 현장의 용탕관리에 적용 할 수 있다. Mg다이캐스팅 부품은 Al다이캐스팅 부품에 비하여 비(base)하기 때문에 쉽게 부식되며, Si함량이 높으면 도금이나 양극산화착색 등의 외관컬러재현의 한계성이 있다. 조립할 경우 볼트 등도 Mg소재와 동일한 재질을 사용해야 한다.
○ 국내 반월공단의 신창전기에서는 자동차용 Window Chassis, Key, Air Bag Housing, Steering Wheel Core합금을 생산 공급하고 있고, KH바텍 사는 휴대폰외장 및 내장힌지를 자동차부품에 응용하고 있다. 보고마그네슘과 승우금속도 다이캐스팅장비를 구입하고 해외진출을 서두르고 있다. 향후 착색기술개발과 함께 경량자동차의 배터리나 내장재 등 응용개발이 요구된다. 그러나 선진국에 비하면 초기단계이고, Ingot을 중국으로부터 수입하고 있어 향후 재활용정책과 기술지원도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저자
- Katsuya Sakakibar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0
- 권(호)
- 82(12)
- 잡지명
- 鑄造工學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734~739
- 분석자
- 김*상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