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공학적 수법을 응용한 인류 진화 연구의 신전개

전문가 제언
○ 인류의 진화에 대한 연구는 수많은 학문을 포괄하는데, 그 중에서 핵심적인 것은 자연인류학(Physical Anthropology)과 생물인류학(Biological Anthropology)이다. 사람속(Homo genus)은 오스트랄로피테쿠스(Australo-pithecine)로부터 230만년~240만 년 전에 아프리카에 분리되었는데, 주된 관심사는 대개 호모 에렉투스(Homo erectus), 호모 에르가스터(Homo ergaster)와 같은 사람속 생물들의 진화에 대한 것이다.

○ 인류의 진화사를 해명하려면 그 직접적인 증거인 화석자료의 형태를 분석하고, 그 시대적 변천과 화석의 형상 차이가 가지는 기능적 의미를 가능한 올바르게 독해할 필요가 있다. 최근 들어 이러한 화석의 기능 형태학적 분석에 대해 생체의 계측과 분석수법을 융합한 새로운 연구가 전개되고 있다.

○ 공학적 수법을 활용한 인류진화 연구의 신전개로서는 컴퓨터 단층촬영(Computed Tomography)에 의한 분석, 다변량 해석(Multi-variate analysis) 수법 중심의 형상 정량화, 수리적 수법을 활용한 화석의 생전 모습 복원, 3차원 신체 근골격 구조의 해부학적인 정밀한 수립 모델을 구축하여 형상이 가지는 기능을 분석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다수의 통계적 변량인 다변량의 상호의존관계나 종속관계의 해석을 목적으로 하는 통계적 방법을 다변량해석 수법이라고 하며, 고고학자들은 이 수법에 의해 인종과 시대 등을 판별하고 있다.

○ 일본 Kyoto 대학 대학원 의학연구과 부속 선전이상표본해석 센터에는 인간의 태아 액침표본이 다수 소장되어 있다. 그 태아 표본을 X선 CT 장치를 이용하여 3차원 상을 촬영하여 두개골 상에서 얻은 계 68점의 표식점 좌표의 성장변화를 기하학적 형태측정학(Geometric morphometrics) 수법을 이용하여 해석함으로써 인간 태아기의 두개 성장 패턴(pattern)을 밝혀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인간 태아기의 상세한 성장 궤적은 영장류 골격계의 형태 형성기구를 탐색하는데 있어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저자
Naomichi Ogihar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정밀기계
연도
2010
권(호)
49(12)
잡지명
計測と制御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밀기계
페이지
837~843
분석자
석*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