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심리학과 사회적 로봇

전문가 제언
○ 심리학(Psychology)이란 마음과 뇌, 그리고 컴퓨터와 문화의 4가지를 연결하는 인지과학(Cognitive Science)의 핵심 학문으로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그리고 인지심리학(Cognitive Psychology)이란 “인지과정”에 관심을 갖는 심리학의 한 분야로서 여기서 ”인지과정“이란 어떤 특정한 대상에 주의를 기울여 그를 지각하며, 특정 내용을 저장하거나 새 사실을 익히고 언어를 사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지적 과정을 말한다.

○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의 발전이 인지과학 형성의 모태를 이루었는데, 이 인지과학은 인간의 두뇌에 의한 정신활동이나 신체기능을 추상적으로 다루지 않고, 구체적인 기술로서 재현하려는 학문이다. 즉 인간이 느끼고 생각하며, 말로 표현하는 것을 추상적으로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 구체적인 공식이나 절차로 재현하게 하는 것이다. 인지과학은 컴퓨터 과학을 모태로 하여 마음에 관심을 갖는 인접학문이 결합하면서 구성된 학제 간 연구로 탄생하게 되었다.

○ 장차 기술혁명의 가장 주목할 만한 특징은 인공지능을 가진 사회적 로봇(Social Robotics)의 활동일 것이다. 사회적 로봇을 통해 인간은 로봇과 감정적이면서 친밀한 상호작용을 할 수 있게 될 것이며, 머지않은 장래에 인간과 로봇과의 대화가 가능하게 될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사회적 로봇은 촉각과 같은 센서 능력을 갖추게 될 것이며, 또한 객체로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므로 섹스 로봇과 같은 미래에 프로노의 대체물이 될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

○ 국내 사회적 로봇 산업은 투자 대비 수익이 현 시점에서 바로 발생하는 산업이라기보다는 향후 10년, 15년 후를 바라보며, 다가올 미래를 위해 현재를 준비하는 장기적 관점에서 꾸준히 지속해야 할 사업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국내의 많은 전문가들은 2020년 이후로 기술적 변곡점을 잡고 있는데, 그 이유는 지금까지의 사회적 로봇을 주시할 때 언어적 행동을 하며 자연어를 처리할 수 있게 되면서 로봇과 인간과의 관계가 보다 긴밀하고 지속적일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하고 있다.
저자
Satoru Sut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정밀기계
연도
2011
권(호)
29(1)
잡지명
日本ロボット學會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밀기계
페이지
14~18
분석자
석*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