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미사용 의약품에 대한 여러 국가의 처분실태

전문가 제언
○ 최근에 문제가 되는 것으로 알려지기 시작한 미량오염물질을 신 또는 신종 미량오염물질(emerging micropollutant)이라고 한다. 가정하수와 병원폐수 중 각종 의약품 성분도 이에 속한다.

- 여러 가지 의약품은 세계적으로 상당량 사용되고 있다. 1998년 프랑스, 2001년 독일, 2003년 스페인 및 2001년 캐나다의 ibuprofen(진통제의 일종) 소비량은 각각 166, 128, 276 및 180톤에 달했다고 한다.

- 각종 항생제의 경우, 유럽은 해마다 10,000톤가량 소비하는데, 약 절반은 인간의 의약으로, 나머지는 가축병 치료 등으로 사용된다고 한다. 미국의 연간 총 항생제 소비량은 약 23,000톤에 달한다고 한다.

○ 의약품성분이 수계에 미치는 영향의 몇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인 diclofenac(0.5∼50㎍/L)은 담수 물고기의 아가미와 신장조직에 영향을 미쳐 물고기 개체수를 줄어들게 한다. 진통제인 ibuprofen(0.01㎍/L)은 수생생물의 폴립 재생을 방해하고 번식을 감소시킨다고 한다.

○ 우리나라 병원폐수는 다른 국가와 마찬가지로 주요 신 미량오염물질의 근원이다. 2005년 기준으로 우리나라는 일반병원(282개 종합병원, 763개 병원 및 24,492개 의원)이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우리나라는 이 병원의 폐수와 가정하수 중 신 미량오염물질(의약품 성분)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자료가 없어 이에 대한 연구가 수행돼야 하겠다. 또한, 우리나라는 미사용 의약품 처분에 대한 연구 자료가 없어 이에 대한 연구도 수행돼야 하겠다.

○ 의약품을 포함한 신 미량오염물질은 생물학적으로 반응성이 강한데도 현재 일반적으로 환경유입을 규제하지 않고 있는 것이 세계적 동향이다. 그래서 세계 모든 과학자는 의약품성분이 환경에 미치는 유해성 영향연구에 관심을 둬야 하며 이 연구를 통해 규제해야 할 오염물질을 가려내야 한다. 이 연구결과를 토대로 미사용 의약품 처분방법개선 및 폐수처리장의 공정개선으로 환경오염도 줄여야 하겠다.
저자
Alfred Y.C. Tong, Barrie M. Peake, Rhiannon Braund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1
권(호)
37
잡지명
Environment International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292~298
분석자
한*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