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OATP 억제에 의해 생기는 약물 간 상호작용

전문가 제언
○ 수많은 약물간 상호작용 메커니즘이 있으나 그 대부분은 크게 두가지로 분류된다. 하나는 Pharmacokinetic 약물 상호작용으로서 어떤 약물이 다른 약물의 흡수, 수송, 대사나 분비에 영향을 주는 것을 말하며 둘째는 Pharmacodynamic 약물 상호작용으로서 두가지 약제가 효과적이거나 길항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모두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 대부분의 약제들은 간이나 소장에 있는 효소들에 의해 불활성화 내지 저활성화된 대사산물이 되므로 이를 억제하면 표적약제의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으며 증진된 효과가 달성되면 약제독성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Cytochrome P450효소들이 이 대사에 관여하므로 이들 효소에 대한 두 약제 사이에 경합이 일어나 약제간 간섭이 일어날 수 있다.

○ 어떤 약제는 약제 대사효소에 의해 독성대사산물로 바뀔 수가 있고 특히 유사한 Pharmacodynamic 효과를 가진 2가지 이상의 약제들이 있을 때에는 과잉반응이나 독성을 가져올 수 있으나 서로 반대의 Pharmaco- dynamic효과를 가진 약제들은 효과가 줄어들 수 있다.

○ 최근 OAT, OATP, OCT(Organic Transporter), MRP(Multidrug Resistance-Associated Proteins), BCRP(Breast Cancer Resistant Proteins) 등과 같은 수송단백질의 억제나 유도 등 수송체에 의한 약물간 상호작용에 대한 보고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 대사, 효소, 수송체에 의한 약물간 상호작용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는 아직도 초기단계에 불과하다. 더욱이 한가지 약물간 상호작용에 동시에 두가지 이상의 메커니즘이 관여할 수도 있으며 만성질환(예; 당뇨병)에 급성질환(예; 독감)이 합병되었을 때 여러 약제를 동시에 투여하는 경우 등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분류체계를 보다 명확하게 함으로서 국내연구진이 중점적으로 연구해야 할 분야를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자
Shitar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0
권(호)
61(8)
잡지명
藥局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2845~2850
분석자
백*화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