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p53에 의한 당대사 통제와 발암

전문가 제언

○ p53은 여러 인간암세포에서 유전자변이가 검출되고 있는 대표적인 암 억제유전자로서 p53은 DNA손상이나 여러 가지의 스트레스로 인해서 활성화하며, 핵 내에서 여러 가지 유전자의 발현을 유도하게 되며, p53의 표적이 되는 유전자군산물의 해석과 p53결손세포의 해석에서 p53은 세포주기의 정지, 세포사(Apoptosis)의 유도, DNA수복 등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판명되고 있다.

○ 따라서 p53은 DNA손상 시의 작용에서 세포주기를 정지하고 DNA수복을 촉진함으로서 DNA의 변이를 억제한다. 또는 수복할 수 없는 세포를 Apoptosis에 의해 배제함으로서 유전자에 변이가 들어간 세포가 남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이것이 p53의 암화억제기능으로도 생각되고 있었다.

○ 그 후 이들의 기능에다가 p53은 적극적으로 세포증식 통제의 이상이 있는 세포를 배제함으로서 암화를 억제하는 것으로 이해하게 되었으며, 실제로 정상의 섬유아세포는 DNA손상 자극을 가하면 p53의존성으로 세포주기가 정지하나 c-myc등의 세포증식 유도에 작용하는 암유전자를 발현시킨 세포는 p53으로 인해서 신속하게 Apoptosis가 유도하게 된다.

○ 암세포는 자신의 대사계를 변화시킴으로서 세포의 증식이나 침윤을 하기 쉽게 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암 억제인자인 p53은 세포의 Glucose대사 수준을 제한하고 있으나 p53의 기능이 없어지면 이 통제가 빗나가서 Glucose대사가 항진하는 것이 밝혀짐으로서 이에 대한 세포내에서의 변화를 분석 및 해석함으로서 암화의 분자메커니즘을 밝힘과 동시에 대사를 표적으로 한 암의 치료 및 예방법개발에 연결되게끔 관련 연구자의 각별한 관심을 당부하고 싶다.
저자
Nobuyuki Tanak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1
권(호)
30(1)
잡지명
細胞工學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36~40
분석자
최*윤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