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태양전지급 폴리실리콘 생산을 위한 유동상 반응기 개발

전문가 제언
○ 오늘날 저탄소 고유가시대에 세계에너지 수요는 계속 증가하여 새로운 재생에너지원인 태양전지가 관심을 끌고 있다. 태양전지 시장을 압도적으로 지배하는 실리콘 태양전지는 제조비용이 높고 에너지 다소비형이다. 잉곳 및 웨이퍼 제조의 원료인 다결정의 태양전지급 폴리실리콘(SoG) 제조가 실리콘 태양전지 제조 총에너지의 약 40%를 차지하므로 저에너지형 폴리실리콘 제조가 태양전지 원가를 낮추는 큰 요인이 되고 있다.

○ 폴리실리콘 제조에는 실란가스(SiH4) 분해와, 삼염화실란(TCS, SiHCl3)과 수소와의 반응의 두 CVD 방법이 있다. CVD 반응기로는 1960년대 개발 이후 반도체용이된 Siemens 반응기가 제품품질이 높으나 에너지 효율이 떨어지고 반응가스 이용율은 30%대이다. 에너지 효율이 좋아 SoG급 폴리실리콘 제조용으로 개발된 FBR의 반응가스 이용율은 98%대이므로 FBR 개발은 금후 실리콘 태양전지 사업 성공의 필수요건이다.

○ FBR 개발에 많은 연구그룹과 회사가 노력하였으나 대부분의 연구는 산업체에서 이루어져 연구보문이 적고 많은 특허가 주를 이루고 있다. Norway 및 미국의 저자들은 이 글에서 SoG급 폴리실리콘 제조를 위한 FBR 개발을 고찰하고 있는데 이 글의 목적은 FBR 설계의 개념, 도전 그리고 현재 개발상황에 대한 전반적인 그림을 소개하는 것이다.

○ FBR 개발에 50년간 많은 설계가 고안되었으나 이 글은 오늘날 공업적으로 사용되는 두 설계로 ASIMI사(현재 REC사)의 Lord 등의 것과 TCS 사용의 한국화학연구원(KRICT) Kim 등의 것을 들고 있다. 형태는 달라도 전자는 현재 REC사가 사용하고 후자는 Wacker사가 사용 중이다. KRICT의 기술이 자랑스럽다. 연구단계에는 Wacker사 및 MEMC사 등이 있다.

○ 실리콘 태양전지 경쟁에서 수직계열화가 필요하다. 미국의 Hemlock, 한국의 OCI, 독일의 Wacker사가 과점 중인 전 세계 폴리실리콘 시장에 삼성그룹이 미국 MEMC와 함께 진출하면 한국의 국제 경쟁력은 강화될 것이다. 국내 폴리실리콘 시장엔 세계1위 투자를 계획 중인 OCI 외 KCC, 웅진실리콘, 한국실리콘 등의 기존 제조사가 있어 출혈경쟁이 염려된다. 제조규모도 중요하나 꾸준한 선행적 기술 투자가 필요하다.
저자
W.O. Filtvedt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0
권(호)
94
잡지명
Solar Energy Materials and Solar Cell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1980~1995
분석자
변*호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