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SW 장기관리를 위한 성과기반 시스템
- 전문가 제언
-
○ 도시고형쓰레기(MSW)란 도시에서 배출되는 쓰레기로서 생활쓰레기와 상업쓰레기가 주종을 이루며, 도시하수처리 슬러지와 가로 청소물 및 건설폐기물도 도시폐기물에 포함된다. 도시폐기물은 도시 주변에 산재된 소규모 매립지에 매립되는데, 갈수록 매립지를 구하기가 어려워지고 있다.
○ 쓰레기매립은 고형 폐기물처리를 위한 지배적인 대안 방법이며 세계적으로 장기적인 관리전략을 요구하는 폐쇄된 수많은 쓰레기매립지가 있다. 시간 또는 목표 값에 근거를 둔 접근법과 달리, 폐쇄된 후 돌봄(PCC)의 평가를 위한 성과기반 방법론은 침출수, 가스관리, 지하수 모니터링 및 덮개 완전성을 포함하고 있다. 쓰레기매립지에서 PCC의 중요 구성요소들이 매립지가 기능적 안정성을 정의한 조건을 충족시키고, 규정된 PCC에서 규정 후 보호적 돌봄 프로그램으로 전환결정을 고려하고 있다.
○ 국토(남한)면적이 약 99,646㎢으로 1인당 면적이 2,072㎡에 불과하여, 매립방식의 폐기물처리는 근본적으로 한계가 있다. 또 매립방식은 자연 환경을 훼손하고, 가용 토지자원 잠식 초래 및 과다한 사후 환경관리비용이 소요되는 등 문제를 가지고 있다.
○ 지속적인 경제성장에 따른 국민소득 증가, 신도시 건설, 도시 재개발 및 중화학공업 발달 등으로 폐기물 발생량이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 폐기물이 2011년도에는 45만톤/1일에 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오래된 폐기물 매립지의 감소를 보여주는 미국처럼 폐기물처리 관리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하여서는 국내에서도 쓰레기매립지가 폐쇄된 후 관리를 위한 성과기반 운영시스템을 설치·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 저자
- Jeremy W.F. Morris, Morton A. Barlaz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1
- 권(호)
- 31
- 잡지명
- Waste Management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649~662
- 분석자
- 조*동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