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저산소와 Mitochondria의 형태적인 변화

전문가 제언
○ Mitochondria는 계속적으로 저 산소상태에 있게 하면 전사인자(HIF-1 α)의 활성화의 증식과 피루브산(Pyruvic acid)의 TCA회로(TriCarboxylic Acid Cycle)의 우회로 인해서 산화적인 인산화의 억제를 가져오며 Mitochondria 신생의 억제 및 Autophagy에 의한 배제촉진 등의 기능적 및 형태적인 변화(Remodeling)를 일으키게 된다.

○ Remodeling을 일으킴으로서 이들의 Remodeling은 저산소하에서 증식하는 암세포대사의 기반이 되고 있는 부분이 대부분으로서 그의 의의와 메커니즘의 해명은 종양을 조정하기 위해서 매우 유용한 것이며 저산소하에서의 Mitochondria의 Remodeling의 대부분은 전사인자인 HIF-1 (Hypoxia-inducible Factor)이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종양세포의 세포사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HIF-1의 활성화를 초래하게 하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Mitochondria의 HIF-1에 의한 Remodeling의 대부분은 Warburg효과에서 관찰되는 변화로서 종양의 악성도나 증식능력은 산화적인 인산화를 회복함으로서 저하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Mitochondria의 Remodeling이 종양의 악성도하고 관련되고 있다는 것이 밝혀져 있다.

○ 따라서 저산소와 Mitochondria의 Remodeling에 있어서 현재의 조양 치료의 최종목적은 Mitochondria의 산화적인 인산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는 것을 생각하게 됨으로 HIF-1에 의한 Remodeling을 목표로 한 종양치료에 대한 목표가 앞으로는 보다 현실성 있게 Mitochondria의 Remodeling이 종양의 악성도하고 관련이 확실시됨으로서 이에 관한 연구자의 관심이 집중되어야 종양정복에 획기적인 성과가 있을 것으로 믿는다.
저자
Ryo Fukud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1
권(호)
30(1)
잡지명
細胞工學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20~24
분석자
최*윤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