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부화장에서 담수진주홍합 양식

전문가 제언
○ 국제자연보호연합(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and Natural Resources, IUCN)의 멸종위기 종 목록(Red List)에 담수진주홍합 Margaritifera margaritifera L.이 포함된 것은 지리적 범위에 따라 각종 착취와 개발로 심각한 위험에 처하면서 개체군의 일부만 성패로 성장하기 때문이다.

○ 우리나라는 국토이용계획에 따라 서해안 간척사업으로 각종 오염물질 유입과 수질이 악화되어 갯벌이 황폐화되면서 각종 조개류를 비롯한 철새 서식에도 큰 위협이 되고 있음에도 근본적인 치유대책은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 여러 지방에 걸쳐있는 일부 기관은 Ark Site에 위치한 양식장에서 잔여개체군으로부터 M. margaritifera 치패를 양식하고 있지만 치패 방면위치는 종의 전반적인 라이프사이클 요구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는 지점으로 차세대 발생과 장기간의 종 회복에 기여할 수 있어야 한다. 이 원칙은 홍합만이 아니라 연어나 기타 치어양식에도 적용할 필요가 있다.

○ 다만 하천 환경이 양식에 적합하여도 기존의 연구 자료만으로는 의사결정에 어려움이 가중되는 것은 보다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데이터 확보가 요구되기 때문이다.

○ 영국 더럼대학 Bolland 교수 등이 기술하고 있는 담수진주홍합 생태계와 서식지 요구조건과 적절한 양식장 위치확인에서의 야생홍합 샘플링 방법, 개체군 쇠퇴원인을 제거할 수 있는 구제대책, 치패에 적합한 하구구간이나 위치 및 지점 확인 등은 섬진강 재첩을 비롯한 조개류 생태계 보전에도 널리 활용될 수 있다.
저자
J.D. Bolland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0
권(호)
20
잡지명
Aquatic Conservation: Marine and Freshwater Ecosystem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695~704
분석자
한*빈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