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딩용 멀티에어컨에 대한 원격 보수관리 기술의 발전
- 전문가 제언
-
○ 지구온난화 방지와 세계적 에너지 수요 위기 등에 의하여 사무실 빌딩의 에너지 절감 대책이 시급하게 되었다. 빌딩용 멀티에어컨은 1대의 실외 유닛에 복수의 실내 유닛을 접속시킴으로써, 실내 유닛 마다 서로 다른 사용 환경에 맞도록 하는 운전 조건 설정이 가능하도록 하여, 에너지 절감과 부분 부하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고 있다.
○ 빌딩용 멀티에어컨의 원격 보수 시스템의 기본 개념은, 빌딩 소유자의 초기 투자비용을 적극적으로 줄이면서 보수 관리와 에너지 절감을 원격으로 실현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 보수 관리회사와의 계약에 의하여 빌딩 소유자는 특별한 설비를 구입할 필요가 없이 인터넷 회선과 라우터(router)를 설치하여, 기존의 BA(building automation) 시스템에 접속하기만 하면 공기조화 설비의 고장 진단, 보수 관리, 에너지 절감 관리 등을 원격?자동화로 실현할 수 있다.
○ 우리나라의 경우 현재 공조기를 설치할 때 냉방 운전시의 최대 부하를 기준으로 기종을 선정하는 경우가 많다. 정보기술의 발전에 의하여 앞으로는 공조 분야에도 고장 진단과 보수 관리 및 에너지의 합리적 위한 정보기술의 활용이 일반화될 것이다.
○ 인원, 사무기기 등에 의하여 발생하는 빌딩이나 건물의 내부 부하 상황은 시간대나 주위 여건 등에 따라 크게 달라지기 마련이다. 따라서 원격?자동화로 냉난방과 공조 부하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분석하여, 공조기 마다의 최적 운전 상황을 알아내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이에 따른 보수 관리의 자동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면, 빌딩의 쾌적 환경 유지와 인력 및 에너지 절감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 저자
- TANAKA M.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10
- 권(호)
- 85(989)
- 잡지명
- 冷凍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171~176
- 분석자
- 조*곤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