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구조용 체심입방정계 Ti합금의 개발동향

전문가 제언
○ 구조용 Ti합금은 bcc구조의 β형 합금과 (α+β)형 합금을 중심으로 개발되어 왔다. β형 합금은 용체화 처리에 의하여 가공성이 우수한 β상을 실온까지 잔존시키고 시효처리에 의하여 미세한 α상을 석출시켜 강도를 향상시킨다. β상의 안정화에는 V, Mo, V 등과 같은 고가의 원소가 필요하나 최근 저렴한 Fe를 첨가한 Ti-1.5Al-6.8Mo-4.5Fe합금이 LCB(Low Cost Beta)의 명칭으로 실용화되어 자동차나 이륜차의 서스펜션 스프링에 적용되고 있다.

○ (α+β)의 2상 조직을 갖는 합금에서는 β안정화 원소의 전량 또는 일부를 Fe로 대체한 Ti-Al-Fe(-Mo)계 합금과 Ti-Fe-O-N계 합금이 개발되어 흡기엔진 밸브를 비롯한 자동차 부품, 선박부품, 스포츠 용품, 고속회전기 부품 등에 이용되고 있다. 또 합금원소의 양을 조정하고 산소농도를 낮게 하여 가공성과 인성을 향상시킨 Ti-5Al-2Fe-1.5Mo-O계 합금과 이를 이용한 용접관의 제조 기술도 개발되고 있다.

○ 공업용 부품 이외에도 Ti합금은 생체적합성과 형상기억성이 우수하여 의료용 생체재료로 많이 이용된다. 구조용으로는 항공기 이외에 최근에는 건축구조물의 지붕재나 벽재, 손목시계, 노트북 컴퓨터, 디지털 카메라 등의 케이스류 등에도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또 Ti합금이 갖는 수소저장성과 초전도성은 에너지 산업용 재료로서도 매우 유망 시 된다. 최근 Ti합금의 고내식성을 이용하는 에너지용 용도로서 연료전지의 세퍼레이터, 열교환기용 플레이트 등이 검토되고 있다.

○ 국내의 경우에도 생체재료, 의료/복지기기, 자동차 및 기계 부품, 전자통신기기 등의 분야에서 Ti합금의 수요가 증대하고 있다. 그러나 Ti합금의 이용에 가장 큰 문제점은 가공성이 불량한 점과 가격이 고가인 점이다. 국내의 Ti소재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고성형성 신합금 개발, 기존의 TiCl4환원법(Kroll법)에 대체하는 TiO2환원법, 전자기력을 이용하는 skull 용해법 등에 관한 연구개발이 필요하다.
저자
Masuo Hagiwar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0
권(호)
15(11)
잡지명
ふぇらむ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671~677
분석자
심*동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