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오믹스 의학의 전개
- 전문가 제언
-
○ 오믹스(omics)란 2003년에 게놈 해독계획이 완료되기 이전으로부터 제창되어 왔으며, 21세기에 접어들어 크게 발전해 왔다. 이는 게놈 정보 이후의 총체적 분자정보를 지칭하는 개념이며, 게놈 해독계획 시에 제창되었던 게놈 의료는 개인에게 있어 선천적 게놈 정보로서 생식 세포로부터 초래된 게놈 정보에 따른 의료이다.
○ 오믹스 정보는 이를 측정하는 하이 스루풋(high throughput) 측정장치의 발전과 더불어 주목을 받아 왔으며, 특히 인간 게놈(Human Genome) 계획 실시 중에 주목을 받게 된 계기는 전사체(transcriptome)를 측정하는 DNA 마이크로 어레이의 발명이다. 이는 세포 내의 유전자 발현량을 측정하기 위해 수만의 유전자 배열에 관련된 DNA 단편을 실리콘 기반이나 슬라이드 유리 등의 기판 상에 높은 정밀도로 배치한 칩(chip)이다.
○ 일본 의과치과대학 생명정보연구실에서는 오믹스 정보에 따른 질환의 시스템적 파악 시스템을 구축하는 지적 기반으로서 암을 중심으로 하는 총체적 질환 분자병태 데이터베이스를 2005년부터 구축하기 시작하였다. 오늘날 간암 대장암, 구강암 등을 대상으로 하여 500개 이상의 증례에 대해 종래의 임상정보, 병리정보에 부가하여 CGH(Comparative Genomic Hybridization), DNA 마이크로 어레이, 더 나아가 프로테오믹스(proteomics) 정보 등 총체적 분자정보를 수집하여 분자정보와 임상정보의 양쪽이 충실화된 통합적 임상 오믹스 데이터베이스(iCOD: Integrated Clinical Omics Database)를 구축해 나가고 있다.
○ 우리나라도 정부 주도 하에 프로테오믹스 이용기술 개발사업이 신약개발을 목표로 진행 중에 있다. 2007년 10월에는 세계 인간 프로테움 기구 총회가 서울에서 개최되었으며, 단백체학에 대한 연구가 국내에서도 활발하게 수행되고 있다. 프로테오믹스 관련 상품의 세계 시장은 2000년에 약 20억 달러, 2005년에는 약 40억 달러에 달했던 광대한 시장이라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될 것이다.
- 저자
- MAsahiro Kobayash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밀기계
- 연도
- 2010
- 권(호)
- 49(8)
- 잡지명
- 計測と制御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밀기계
- 페이지
- 537~542
- 분석자
- 이*요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