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인지 및 스마트 환경

전문가 제언
○ IT, 통신 및 전자기술의 발전에 따라서 홈 내의 정보, 가전 및 조명, 난방, 가스밸브 등의 기기를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사람과 자연스런 상호작용으로 거주자 환경에서 고품질의 생활서비스를 지원하는 스마트 홈에 대한 연구가 최근 활발하다. 또한 스마트 홈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환경지능 기술, 센서융합 기술 및 WSN등에 대한 기술이 필요하며 이러한 기술은 홈 자동화, 홈 보안 또는 안전, 원격진료, 엔터테인먼트 등 다양한 사용자의 니즈를 만족하게 한다.

○ 원격감시 시스템은 고정 또는 거주자가 착용 가능한 센서노드로 구성되어 독거노인 등 거주자의 건강 및 거동을 비침습적으로 감시하여 그들의 안전과 삶의 질을 개선한다. ZigBee 등의 기술에 기반한 고정 및 모바일 노드 간 상호작용은 홈 내 위험한 사건의 추적과 식별을 가능하게 한다.

○ 스마트 홈을 구성하는 데 필요한 H/W, 전자기기 및 통신 인터페이스 는 국제 간 표준화가 진행 중으로 아직도 기기 또는 시스템 간 호환성에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어 각국에서는 기술의 선점을 위해서 표준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러한 H/W 표준화뿐 아니라 제어 S/W가 중요한데 이러한 S/W 기술은 PC, IPTV 또는 스마트폰(iPhone)으로 여러 상황을 감지하여 홈 내 기기를 제어할 수 있게 할 것이다.

○ 그러나 스마트 홈 기술의 기반이 되는 홈 네트워크는 외부의 IT서비스와 연계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해 주는 스마트 홈으로 발전할 전망인데, 자유롭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개방형 서비스 환경의 부재로 인해 창의적인 신규 IT서비스의 출현이 어려운 실정이다.

○ 국내의 경우 기술표준원은 생산업체에 상관없이 호환성이 가능한 홈 네트워크 중심기기(홈게이트웨이, 월패드, 단지서버)에 대한 국가표준을 마련하고 향후 헬스케어, 이러닝(e-Learning) 등 다양한 IT 서비스와의 연동이 가능한 홈네트워크 표준 참조 모델을 개발할 예정이다. IT 강국으로서 이 분야에 대한 연구개발이 더욱 필요한 시점이다.
저자
Elisabetta Farella,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전기·전자
연도
2010
권(호)
41
잡지명
Microelectronics Journal
과학기술
표준분류
전기·전자
페이지
697~702
분석자
박*준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