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네트워크에서의 전력소비 절약 및 고속 CMOS LSI 기술 동향
- 전문가 제언
-
○ 광통신 분야에서 광 디바이스를 접속하는 고속용 IC(Integrated Circuit)로는 GaAs, 실리콘 바이폴라 프로세스 등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들은 고속 특성을 갖고 있으나 생산원가, 집적도, 소비전력 측면에서 많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 이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의 프로세스 미세화, 설계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 광 네트워크에서는 10Gbps급 이상에서 동작하는 고속 전자회로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므로 소비전력 등의 측면에서 최첨단 CMOS LSI(Large Scale Integration)기술을 적용함으로써 광 통신시스템의 전력소비량을 경감시킬 수 있다.
○ 광 통신시스템에서 기존의 직접검파방식을 채택한 수신기에서는 아날로그 전자회로에 의해 증폭(Re-amplification), 타이밍 재생(Re-timing), 파형 정형(Re-shaping) 등의 3R 기능을 실현하였다. 그러나 디지털 코히어런트 수신기에서는 국부발진 광원, 광위상 하이브리드, 광전변환 회로 등의 출력을 직접 A/D 변환시키고 디지털 신호처리 회로에 의해 3R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 일본에서는 1980년대 초부터 광통신기술이 본격적으로 개발되어 오늘날 세계적으로 최첨단 광통신기술을 선도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을 중심으로 LG전선(주), 대한전선(주) 등이 광통신 기술을 적극적으로 개발하여 왔다.
○ 우리나라에서는 1995년부터 광통신망을 이용한 초고속 통신망을 구축하기 시작하여 2005년에는 전국적인 광대역 통신망(BcN : Broadband convergence Network)를 완성한 것이다. 이에 따라 세계에서 가장 빠른 인터넷 속도를 실현하게 되었다. 현재 BcN보다 발전된 UBcN(Ultra BcN)을 실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성공적인 완성을 기대한다.
- 저자
- Hiroshi Onaka, Tadashi Ikeuch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10
- 권(호)
- 93(8)
- 잡지명
- 電子情報通信學會誌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688~692
- 분석자
- 장*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