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정제화를 위한 첨가제의 개발과 이용

전문가 제언
○ 고형제제 중 정제는 가장 생산량이 많은 제형 중의 하나이다. 정제가 많이 사용되는 이유는 이 제형이 1개의 계량단위로서 취급하기 쉽고 복용하기 용이하며 그 제법이 비교적 간단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코팅하여 보통의 속용성(涑溶性) 이외에 장용성(腸容性), 지속성 등의 기능을 부여할 수 있고, 쓴맛, 냄새, 자극에 대한 마스킹 및 안정화 등이 타 제형에 비해 용이한 특징을 가진다.

○ 정제는 용법과 식품보충제의 흡수부위에 따라 내복용 정제, 구강용 정제, 비경구용 정제, 외용 정제 등 4종류로 분류되며, 유효성분 단독으로는 이들 조건을 만족할 수 없기 때문에 이것에 부형제(diluents), 결합제(binders), 붕해제(disintegrators), 활택제(lubricants) 중 적당한 첨가제를 가하여 여러 가지의 제제 조작을 행한다. 이들 첨가제는 생리적으로 불활성한 것이거나 유효성분의 안정성을 저해하는 것이어서는 안 되기에 그 선택에 대해서는 충분한 물리적, 화학적, 생물약제학적 검토가 필요하다.

○ 수용성 정제는 섭취 후 신속한 유효성분 발현을 목적으로 정제에 신속한 붕해성(보통 15분이내)과 신속한 유효성분 방출성(보통 20분 이내에 75% 이상)을 부여한 것으로서 습식과립 압축법, 건식과립 압축법, 직접분말 압축법(직타법)을 이용해 제조한다.

○ 일본에서는 의약품에서의 정제 기술을 바탕으로 식품보충제의 정제화에 이용할 수 있는 첨가제를 활발하게 개발하여 활용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식품 중 건강기능식품에서만 정제 형태를 사용하도록 되어 있었으나 최근에 일반가공식품에서도 정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자유화 되었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도 정제화를 위한 첨가제의 개발이 활성화 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저자
the editorial staff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0
권(호)
45(12)
잡지명
食品と開發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36~40
분석자
백*학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