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노화 연구에서 세포노쇠 신호의 영향

전문가 제언
○ 세포노쇠는 세포 증식의 영구적인 억제의 상태로서 하나의 종양 억제 기작이다. 그러나 관련된 분비 표현형 때문에 노쇠는 또한 암과 아마 비만, 당뇨병, 죽상 경화증 및 알츠하이머 질환과 같은 연령과 관련된 다른 질병에 기여할 수 있다. 세포노쇠의 주요 기작은 두 가지가 있다. 복제 노쇠는 끝분절 침식 또는 기능장애이고, 반면에 스트레스 유발 조기 노쇠(SIPS)는 끝분절과 독립적이고 또한 종양유전자 유발 노쇠(OIS)를 포함한다.

○ 노쇠의 표현형은 세포 형태의 변경, 노쇠와 관련된 β-galactosidase (SA-β-GAL) 활성의 증가, 그리고 노쇠 관련 이질염색질 병소(SAHF), 전골수성 백혈병 핵체(PML NB), 영구적인 DNA 손상, 염색체 불안정성 및 염증성 분비단백질체(secretome)의 형성 증가이다. 이러한 표지자 중 일부는 연령과 관련된 병리 세포에서 확인되었다.

○ 세포노쇠는 DNA 손상 반응 경로가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해결되지 않은 부분이 아직 많이 남아 있다. 세포노쇠의 근본적인 분자 네트워크는 매우 복잡하고 완전히 이해되지 않고 있다. 이것은 특히 끝분절과 비 끝분절의 DNA 손상에 관한 것이다. 세포노쇠의 신호에 관한 지식에서 생체 외와 생체 내에서 차이가 크다. 또한 정상적인 노화와 병적 노화에서 근본적인 두 기작이 분명하지 않다.

○ 그러므로 세포노쇠가 유기체의 노화 및 연령 관련 질병에 미치는 영향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하여, 정상 노화와 병적 노화가 기능적으로 연결된 세포노쇠의 명확한 신호를 정의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아울러 연령 관련 질병의 진단, 병기 결정 및 결과 예측뿐만 아니라 이들 질병의 중재를 위한 약물 생산의 기초를 제공하기 위하여 확실한 새로운 노쇠 생물표지자의 개발이 시급하다.

저자
EwaSikora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1
권(호)
10
잡지명
Ageing Research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146~152
분석자
정*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