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디젤의 내연기관 적합성 검토
- 전문가 제언
-
○ 바이오디젤은 식물성 기름과 동물성 유지로부터 전이에스테르화반응에 의해서 만들며 포화 및 불포화 지방산 알킬에스테르로 구성되어 있다. 바이오디젤을 사용하는데 다소 어려운 문제들이 있으나, 최근에는 내연기관에 사용할 수 있는 가장 유망한 대체연료로 주목받고 있다. 본 문헌에서는 바이오디젤이 석유디젤에 비해 갖는 장점과 단점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검토하였다.
○ 내연기관 연소시스템의 금속부품에 영향을 미치는 부식과 관련하여 부품재료에 대한 바이오디젤의 적합성을 검토하였다. 바이오디젤을 자동차 연료로 사용하여 엔진 성능, 배출가스 및 엔진 내구성에 관한 데이터를 분석하고 석유디젤을 사용할 때와 비교 검토하였다. 엔진 내구성 검토에서 나타난 문제들은 연료펌프의 고장, 필터의 막힘 현상, 분사기의 코킹 등이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필요하다.
○ 바이오디젤의 자동차 내연기관 적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고품질의 바이오디젤을 생산하여야 한다. 바이오디젤의 문제점은 연료의 불안정성이며, 적절히 제조되어 품질규격사양에 적합한 고품질의 바이오디젤이어야 한다. 바이오디젤의 산가 또는 수분함량이 증가하면 품질이 퇴화되어 내연기관 계통의 금속부품의 부식을 일으키며 분사노즐의 막힘이나 실린더 내에 퇴적물을 증가시킨다. 바이오디젤은 많은 장점이 있지만, 연료 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필요하다.
○ 바이오디젤을 사용한 엔진에서 발생하는 필터의 막힘 문제는 특히 우리나라와 같이 추운겨울에는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바이오디젤의 저온유동점이 높은 경우에는 추운 겨울철에 엔진 시동이 어렵다. 바이오디젤의 저온유동성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방한처리, 첨가제개발, 분지 사슬 에스테르 개발 그리고 에스테르 사슬의 벌크 치환과 같은 기술이 있다. 국내에서 품질이 매우 우수한 바이오디젤 생산기술이 확립되어 바이오디젤의 확대보급이 실현되기를 바란다.
- 저자
- M.A. Fazal, A.S.M.A. Haseeb, H.H. Masjuk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1
- 권(호)
- 15
- 잡지명
-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1314~1324
- 분석자
- 김*동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