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동부 대만해협에서 멸종위기 돌고래의 서식지 보전

전문가 제언
○ 우리나라 동해에 고래가 많이 서식하는 것은 난류와 한류가 만나 멸치, 고등어, 오징어, 꽁치 등 먹이가 풍부하기 때문이다. 국립수산과학원은 1999년부터 10년간 한반도 근해 고래자원 조사를 매년 벌이고 있는데 유전자가 다양해지고 새끼도 많아지면서 어장 황폐화나 쾌속선 충돌사고 등 부작용도 속출하고 있지만 해양생태계를 보전하는 차원에서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 본고는 캐나다 해양과학연구소 Ross 등이 지리학적으로 동부 대만해협에 고립된 혹등참흰돌고래 Sousa chinensis는 개체수가 100 이내 개체군으로 많은 위험에 당면하고 있어 이를 보전하기 위한 자료를 요약한 것이다.

- 현재 이 지역 혹등돌고래는 수천척의 어선은 물론 수많은 공장용수와 서식지를 공유하고 있어 중금속이나 PCB 등 인위적 활동에서 발생하는 유해물질은 물론 공장건설과 선박운행에 따른 소음에도 노출되어 있어 이들 리스크를 경감하는 정책이 절실한 실정이다.

- 따라서 제1단계로 “우선서식지”를 법적으로 지정하는 지방자치단체의 노력이 시급하며, 대만에서 돌고래가 선호하는 서식지는 정규적으로 담수가 유입되는 근해 수심 30m 이내로 확인되었다.

- 전통적인 사회경제분석에서 대만 서해를 따라 북에서 남으로 350㎞에 펼쳐진 해역 3㎞는 보호대책이 이행될 것으로 보이나 손상된 돌고래 복원에는 상당한 비용이 들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 고래 종도 서식지 환경에 따라 많은 진화와 함께 다양한 종이 확인되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현재 법으로 포경을 금지하면서 생태체험 관을 비롯하여 박물관이나 보존회 활동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더욱 중요한 것으로 육지로부터 유입되는 유해물질에 의한 생태계 파괴를 근본적으로 차단해야 할 것이다.
저자
P.S. Ross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0
권(호)
20
잡지명
Aquatic Conservation: Marine and Freshwater Ecosystem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685~694
분석자
한*빈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