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파키스탄의 수질오염과 공중보건

전문가 제언
○ 최근 지구온난화로 인하여 세계기후는 급격하게 변하고 있으며, 지역적 및 계절적으로 옛날과는 그 양상을 달리하고 있다. 세계의 여러 지역에서 강우량이 물의 증발량보다 적음으로 인하여 강과 호수의 물은 점차 감소하고 지하수도 고갈되어 가고 있으며, 가뭄과 수량 확보의 부족으로 물 부족문제는 더욱 심화되고 있다.

○ 인구의 증가, 도시화, 산업 및 농업에서의 물 소비확대로 인하여 물 부족 문제는 더욱 심각해지고 있다. 인구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물의 가용성은 계속 떨어지고 있어, 아프리카, 중동, 남아시아의 많은 국가들이 앞으로 심각한 물 부족에 봉착할 것이라고 한다.

○ 수질오염은 공중보건을 위협하는 가장 큰 요인 중의 하나이다. 물의 오염원으로 작용하는 물질들은 병원균, 무기오염물질, 이온물질, 수용성 방사선물질 등으로 다양하며, 오일이나 농약과 같은 유기화합물도 수질을 나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오염물질들이 허용기준량을 초과하여 물에 존재한다면 인간의 건강은 물론, 에코시스템에도 나쁜 영향을 주게 된다.

○ 자연의 물은 순환과정에서 미량의 중금속원소인 불순물을 포함하게 되며, 산업 및 도시폐기물의 부적절한 폐기 그리고 농업에서의 대량의 화학물질의 사용 등, 인간의 활동에 의해서도 독성물질이 지표수와 지하수에 유입할 수 있다. 많은 금속성분이 인체에 필요하지만 과도하게 물에 유입되면 인간과 살아있는 생명체에 심각한 나쁜 영향을 주게 된다.

○ 우리나라는 파키스탄이 봉착하고 있는 물 부족과 수질오염으로 인한 공중보건과 환경에의 부정적 영향을 거울삼아, 경제개발정책 일변도에서 “삶의 질”과 “환경보전”을 중시하는 새로운 비전을 제시, 추진하여야 할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현재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저탄소 녹색성장”의 정책방향은 시의적절하다고 할 것이다.
저자
Azizullah Azizullah, Muhammad Nasir Khan Khattak, Peter Richter, Donat Peter Hader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1
권(호)
37
잡지명
Environment International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479~497
분석자
윤*량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