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섬유 소재의 최신 시장동향
- 전문가 제언
-
○ 식물섬유는 난소화성이기 때문에 영양소 중심의 영양학에서는 주목되지 않았다. 그러나 1970년대 이후, 식물섬유에는 영양소로는 달성할 수 없는 종류의 생리기능, 곧 대장암, 당뇨병, 허혈성 심질환 등의 생활 습관병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 밝혀져서 건강을 유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제6의 영양소로 주목받고 있다.
○ 식물섬유는 수용성과 불용성으로 크게 나눌 수 있는데, 수용성식물섬유는 혈당치 상승억제나 콜레스테롤 흡수억제 등의 생리활성효과가 있고, 물에 녹아 고배합(高配合)이 가능하여 특정보건용 식품이나 음료 등에 주로 이용이 되고 있으며, 불용성식물섬유는 대장 내에서 수분을 흡수하여 변의 양을 더욱 늘려 주고, 대변을 부드럽게 하여 장의 연동운동을 촉진시켜, 배설하기 쉽도록 만들어 준다. 또한, 제품의 저 칼로리화에 기여하여, 다이어트 제품이나 미용관련 제품에도 많이 사용되고, 보수성(保水性)이 높아, 식품의 물성개량 용도로 이용된다.
○ 최근, 일본 큐슈(九州)대학 농학부에서는, 소화되기 어려운 전분을 많이 함유한 신품종 쌀 「초경질미(超硬質米)」를 개발하였는데, 보통 쌀은 레지스탄트 전분(Resistant starch)을 1%정도 함유하고 있으나, 이 쌀은 30%정도를 함유하고 있어, 그 생리활성 작용이 뛰어나, 변비·설사의 정상화, 식욕억제효과, 지방연소촉진효과 등이 있다, 국내에서도 이러한 새로운 식물섬유 함유 소재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 비만 환자나 고지혈증 환자에게는 식이섬유가 대장 안에서 콜레스테롤과 같은 지방이 흡수되는 정도를 낮추어 주고, 당뇨병 환자에게는 식후혈당이 급격하게 상승하는 것을 막아 주기 때문에 좋은 식품으로 권장되고 있다. 그러나 좋은 식물섬유를 섭취하기 위해서는, 우선 가능한 한 정제되지 않은 식품을 먹는 것이 좋고, 식물섬유가 많이 들어 있는 식품은 소화가 잘 되지 않으므로 특히 잘 씹어 먹어야만 하며, 많은 물을 함께 섭취하는 것이 좋다.
- 저자
- Editorial department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11
- 권(호)
- 46(1)
- 잡지명
- 食品と開發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59~67
- 분석자
- 정*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