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기후변화에 대한 제방여과 시스템의 취약점

전문가 제언
○ 물을 정화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강물의 제방관리는 기존의 단편적인 하천관리정책에서 탈피해 풍부한 수량의 확보, 홍수의 방어대책, 생태복원 및 문화관광자원개발이라는 차원으로 발전해 나가야 할 것이다. 더불어 제방여과시스템은 위와 같은 목적의 달성은 물론이려니와 제방이 갖는 본래의 buffer능력을 충분히 살리고 기후변동성에 충분히 대응하도록 종합적으로 정리 및 관리되어야 할 것이다.

○ 우리나라도 기후변화와 기후변동성이 커지고 있음에 따라 홍수와 가뭄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어 대책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홍수량이 증가하고 있으나 제방을 높게 쌓는 일차원적인 대책으로는 제방의 누수 및 침수피해가능성증가에 대비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 한편 수량 확보를 위해서는 댐 건설이 필요하나 댐 건설적지의 감소와 지역 환경단체들의 반대로 추진에 어려움이 많은 것도 사실이다. 따라서 이러한 물 관리위기에 효과적이고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 우리나라는 1차적으로 준설과 보의 설치 등의 대책이 지금 실시되고 있으나 얼마나 효과가 있을지에 대하여는 아직 장담할 수준은 아니다.

○ 제방여과에 영향을 주는 기후변화요소로는 온도와 극단적인 기후상황에 따르는 강우량이다. 극단적인 기후의 빈번한 발생은 지표수의 수량과 수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홍수와 가뭄으로 이어지며 강우량의 변동은 물의 이용성에 영향을 주게 되는 것이다. 또한 온도변화도 제방여과성능에 영향을 주며 이러한 요인들은 서로 상호작용을 하는 것이다. 특히 연간 강우량변화가 심한 지역에서는 제방여과가 수량의 계절적분포의 불균형을 잡아주는 역할도 한다.

○ 결론적으로 제방여과에서 수질은 이화학지수와 영양소, 생물학지수 및 유기미세오염물질 등의 영향을 받는다. 제방여과과정에서 흡착, 이온교환, 침전 및 용해, 산화 및 환원, 생분해, 비활성화 및 사멸의 과정을 거치면서 수질이 변화하는 것이다.
저자
C. Sprenger etc.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1
권(호)
409(4)
잡지명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655~663
분석자
한*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