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모바일 기기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사용에 대한 프라이버시 강화

전문가 제언
○ 오늘날 모바일 기기는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으로 사용자들이 어디를 가든 매일의 삶과 엮이면서 사회적 상호동작, 통신 등의 생활환경을 향상시켜 전례 없이 삶의 질을 풍성하게 하고 있다. 페이스 북, 트위터 등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사용자는 동료들과 사진자료, 생각들을 공유하면서 그들의 삶을 엿볼 수 있지만 반면에 자신의 사생활 정보도 보호받지 못하게 됨을 알게 된다.

○ Google Latitude와 같은 위치기반 서비스는 친구의 위치 추적뿐 아니라 어린 자녀, 병약한 노인, 야간의 여성 등의 위치추적을 통하여 유괴 및 위급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중요한 수단이 될 수 있으나 악의적 사용에 대해서는 특히 심각한 사생활 침해가 될 수 있다.

○ 국내 휴대폰 가입자 수는 2010년말 기준 총 인구수를 넘는 5,076만 명이 가입되어 있고 그 중 스마트폰 가입자는 2010년 8월 기준 348만 명에 달하여 휴대폰은 생활 필수품을 넘어 이제는 생활의 일부분이 되었다.

○ 국내에서는 Google Latitude의 위치기반 서비스가 지원되고 있지 않으나 스마트 폰 소지자는 아주 쉽게 응용 프로그램을 다운받아 사용할 수 있고, 2010년 10월 “오빠 믿지”란 위치기반 응용 프로그램이 국내에 발표되어 큰 반향을 일으켰다. 위치기반 서비스는 잘만 사용하면 사회적 순기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나 악의적 사용은 심각한 사생활 침해가 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 대비할 필요성이 절실한 시점이다.

○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 동작과 개인정보 누출방법에 따라 사생활을 보호할 추가적인 미들웨어 수준의 기능을 제시하고 있고 사생활 보호에 대한 관심은 프로토콜이나 정책만으로 해결될 수 없으며 오히려 사용자에게 인지할 수 있도록 기능을 추가하여 정보의 투명성을 제고할 필요성이 있음을 주장하고 있다. 이 연구를 참고하여 사생활 보호에 보다 많은 관심과 대비책을 마련해야 할 시점이다.
저자
Ben Falchuk and Shoshana Loeb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10
권(호)
48(6)
잡지명
IEEE Communications Magazine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102~108
분석자
이*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