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료전지시스템의 파워 일렉트로닉스
- 전문가 제언
-
○ 전기 이용을 크게 나누면 정보 조작에 이용하는 것과 에너지로서 이용하는 것으로 나눌 수 있다. 미국의 Newell은 파워(power, 정지기기, 회전기)와 일렉트로닉스(electronics, 디바이스, 회로) 및 이들을 연결하는 컨트롤(control, 연속 제어, 표본 제어)의 3가지 영역을 포함하는 종합적인 기술 분야를 파워 일렉트로닉스라고 정의하였다.
○ 이 보고서는 일본의 가정용 연료전지시스템의 보급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주)Fuji전기의 전문가가 연료전지시스템의 파워 일렉트로닉스에 대한 기초개념부터 시스템 적용까지를 알기 쉽게 해설하고 있다.
○ 일본과 한국에서는 1kW급의 가정용 연료전지시스템이 실용화되고 있다. 에너지원으로 연료전지를 사용하는 연료전지자동차의 경우도 일부 리스판매를 통해 보급되고 있고 세계적으로는 수백 대가 시험주행하고 있다. 또한 연료전지는 무정전 전원장치로도 이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연료전지는 극저온의 극한 상황에서도 작동할 수 있다.
○ 일본의 경우는 NEDO 주관 하에 여러 기업들이 연료전지시스템의 정보와 생산기술을 공유하고 각종 규제도 풀면서 국제경쟁력 있는 제품을 만들고 있고 브랜드 공유화를 통한 양산효과로 가격을 낮추고 있다.
○ 우리나라에서도 정부가 가정용 연료전지시스템의 10만호 보급목표를 세우고 이를 위한 대책을 추진하고 있다. 여기에 참가하고 있는 퓨엘파워(Fuel Power)사는 도시가스 개질기, 연료전지 스택 및 파워 일렉트로닉스 장치 등을 소형화하여 국제경쟁력을 키워가고 있다. 중소기업이 연료전지시스템의 자체개발을 통해 실용화에 노력하고 있다.
○ 정부는 이들 기업의 어려움을 파악하여 적절한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산업경쟁력 향상에 중요할 것이다. 또한 연료전지시스템을 도입한 가정에서 생산된 전력을 고정우대가격제도로 구매해주는 인센티브를 부여하면 더 많은 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이 보급되어 산업경쟁력 확보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외국기술을 도입하면 이들 기업들의 개발 의욕을 꺾어버릴 것이다.
- 저자
- Y. Iked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0
- 권(호)
- 78(11)
- 잡지명
- 電氣化學および工業物理化學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918~922
- 분석자
- 조*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