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최근 천연섬유계 복합체 용도의 발전

전문가 제언
○ 천연섬유 강화 고분자 복합체는 가볍고, 경제적이고, 다양한 형태로 구득할 수 있다. 이들 복합체는 밀도가 낮고, 물성이 대등하고, 가공이 신축적이며, 환경친화적이어서, 유리섬유, 운모 및 탄산칼슘 같은 전통적인 충전제를 대체할 수 있다. 고분자 시스템 혹은 천연섬유를 개질함으로써 바이오 복합체는 범용 제품부터 항공기 부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용도로 설계할 수 있다. 전자종이, 연료전지막, 약물방출 속도조절 및 바이오 센서를 예로 들 수 있다. 이 글은 다양한 용도에서 진행된 셀룰로오스계 재료의 발전을 기초연구와 함께 분석하였다.

○ 바이오 복합체의 개발을 위해 유럽에서는 이의 실용화와 고성능화 연구를 공동으로 추진하며, 미국은 국가 로드맵에 따라 여러 부처의 지원 하에 체계적인 추진을 하고 있다. 최근에는 선진국을 중심으로 나노셀룰로오스 보강재 개발 등 나노기술 접목을 적극적으로 추진 중이다.

○ 국내에서는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금오공과대학 등 연구계와 학계에서 바이오복합체 기초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인하대학교의 김재환 교수팀은 셀룰로오스 복합체로 스마트 액추에이터를 만드는 연구를 발표했는데, 이 글에서도 이 연구를 인용할 만큼 혁신적인 연구라 하겠다. 최근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성옥 박사팀은 해조류 등 천연섬유를 보강재로, 고분자를 매트릭스로 하는 자동차 내장재용 바이오복합재료를 개발하였다고 보도되었다.

○ 산업차원에서 천연섬유를 사용하는 것은 자동차 부품 등 재료의 환경적 지속가능성을 개선하는 의미가 된다. 건설 산업에서도 천연섬유는 경제적이고 기술적으로도 타당하다. 천연섬유는 기존 재료에 비하여 높은 단열성을 제공한다. 나노기술이 융합된 고성능 및 고기능의 바이오복합체 기술은 세계적으로 기술개발 초기단계이다. 그러므로 적극적이고 꾸준한 연구개발에 의해 관련 원천기술을 확보할 수 있으며, 상용화시 국외시장을 선점할 수 있는 잠재성이 큰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이들 기술개발이 저탄소 녹색성장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저자
Jitendra K. Pandey, S. H. Ahn, Caroline S. Lee, Amar K. Mohanty, Manjusri Misr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0
권(호)
295(11)
잡지명
Macromolecular Materials and Engineering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975~989
분석자
이*용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