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차세대 홈 네트워크의 전망

전문가 제언
○ 홈 네트워크는 가정 내의 모든 정보 가전기기가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누구나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가정 내 보안기능에서부터 화재, 가스 누출 등의 위기 상황을 감지할 수 있으며 조명, 전원, 가전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 원격 교육, 멀티미디어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첨단 주거환경을 말한다.

○ 국내 홈 네트워크 서비스는 주로 신축 아파트를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으며 SK텔레콤은 “디 홈(D. Home)", 삼성전자는 ”홈 비타(Home Vita)", KT는 “홈 엔(Home N)" 이란 이름으로 서비스하고 있고 현대통신은 ”이마주(IMAZU)", 서울통신기술은 “이지온(EZON)"으로 가정 내 보안기능에서부터 초고속 인터넷, 원격제어 및 홈 오토메이션 기기 연동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 향후 홈 네트워크 서비스는 영화, HDTV등 외부에서 전송되는 고품질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가정 내 유무선 홈 네트워크와 연결하여 활용하는 홈 인터테인먼트 서비스와 외부 의료기관과 연결하여 의료기기나 생체정보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원격으로 검진하고 위급사항을 통지하는 헬스 케어 서비스가 강화되고 음성인식이나 각종 센서기술 및 로봇을 활용한 실감, 지능형 서비스가 보편화되는 유비쿼터스 환경 중심의 지능형으로 발전될 것으로 예상한다.

○ 이 연구에서는 차세대 홈 네트워크가 실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초고속, 광대역이면서 전자기적 간섭이 없는 광섬유를 홈 네트워크의 백본으로 제시하고 구현을 위한 다양한 구조와 구조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광섬유들을 검토한 것으로 국내 관련업체에 상당한 참고가 될 수 있다.

○ 아울러 지능형 홈 네트워크 산업은 가전, 통신, 건설, 방송 등 다양한 산업과 연계성이 있고 그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되어 지난 2003년 우리 정부는 차세대 10대 신성장 산업으로 지정한 바 있으며 그동안 상당한 예산지원과 함께 산업 활성화를 지원하고 있다.
저자
Roberto Gaudino , Daniel Cardenas,Martial Bellec, Benoit Charbonnier, Noella Evanno, Philippe Guignard, Sylvain Meyer, Anna Pizzinat,Ingo Mollers and Dieter Jager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10
권(호)
48(2)
잡지명
IEEE Communications Magazine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39~47
분석자
이*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