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O-Al2O3-MgO계 플럭스를 사용한 EAF-LF-RH법의 조합에 의한 고품질강 정련
- 전문가 제언
-
○ 고로에서 생산된 쇳물은 탄소 함유량이 많고 인, 유황과 같은 불순물이 포함되어 있어 부스러지기 쉽다. 이러한 쇳물을 강인한 강으로 만들려면 탄소의 양을 줄이고 불순물을 제거하는 과정이 필요한데 이러한 과정이 제강공정에서 이루어진다. 제강공정은 용선예비처리, 전로제강, 2차정련이라는 세가지 과정으로 구분할 수 있다.
○ 용선예비처리는 쇳물에 포함된 불순물 인과 유황 성분을 제거하는 공정이며, 전로제강공정은 전로에 쇳물을 부은 후 고압, 고순도의 산소를 불어넣어 탄소를 태우고 불순물을 없애는 공정으로서 철강의 기본적인 품질을 결정하는 공정이다. 2차정련은 최종제품의 내부품질(성분, 재질 등)을 요구조건에 맞게 제어하는 공정이다.
○ CaO-Al2O3-MgO계 플럭스를 사용하여 전기로와 레이들 정련로 및 순환식 탈가스로에서 정련하여 고품질강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용강중의 산소, 질소 및 유황성분을 조절하고 용강의 분위기를 강환원성과 강염기성으로 해줄 필요가 있다. 청정강을 제조할 수 있고 다음의 압연공정에서 미세조직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우수한 품질특성을 얻을 수 있다.
○ POSCO 광양 미니밀 공장의 2차 정련설비인 LF는 LF의 고유기능인 승온뿐만 아니라 전기로에서 출강된 용강의 탈산, 탈황, 개재물제어 등의 정련처리 및 성분조정, 알루미나 개재물의 구상화를 위한 Ca 처리 등의 역할을 전담하고 있다. 적절한 교반력 하에서 LF를 이용한 신속하고도 효율적인 탈황조업을 위해서는 최대의 탈황능을 얻기 위한 적정한 슬래그의 조성 및 질소혼입 방지를 위한 적절한 처리조건의 도출이 필요하다. POSCO에서는 최근 적절한 생석회 투입에 의한 슬래그 개질시험, 주조 후의 레이들 내 잔류 슬래그의 재활용 시험 및 CaF2 사용 시험에 대한 조업 데이터를 발표하는 등 CaO-Al2O3-MgO계 플럭스를 사용한 EAF-LF-RH법의 조합에 의한 고품질강 정련기술 발전에 선도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 저자
- Shiro BANY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0
- 권(호)
- 96(8)
- 잡지명
- 鐵と鋼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524~529
- 분석자
- 김*돈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