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해질 액정특성을 갖는 이미다졸 염
- 전문가 제언
-
○ 액정에 관한 포괄적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도 대학과 국립연구기관에서 오래전부터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액정원재료 공급원은 다우(DOW)케미컬한국이다. 여기서 액정 디스플레이용으로 다양한 종류의 액정을 공급하고 있다. 이미다졸 염에 대한 부분적인 개발도 한국화학연구소에서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
○ 유기결정에 열을 가하여 녹이면 액체상태로 변한다. 온도에 따라 액상의 색깔이 다르기는 하지마는 광학적으로는 원래의 유기결정에서 나타나는 복굴절현상을 나타내기 때문에 애정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고체결정체가 녹아서 분자의 중심이 일부 상실되어 분자의 배향은 다소 불규칙하나 결정의 성질은 유지된다.
○ 액정이 발견 된지는 오래전(1888년)이지만 결정학의 학문적인 차원에서만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액정의 가늘고 긴 분자가 서로간의 위치는 다소 불규칙하다. 결정의 장축이 모두 일정한 방향으로 향하고 있다. 액정에 전기장을 가하여 전기전도율의 비등방성을 이용하여 분자를 재배열하면 광학적 특성에 변화가 생긴다.
○ 결정입자는 기판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우선 배열하는 경향을 가진다. 이것은 결정의 면방위에 따라 기판과의 계면에너지의 이방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최소의 계면에너지를 받는 결정면이 기판표면과 나란하게 성장하기 쉽기 때문이다. 이 원리를 사용해서 비정질기판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하면 골의 측면에도 기대하는 배향정렬이 일어난다.
○ 액정은 유기분자의 배향벡터에 따라 방향질서를 가지고 배열한다. 자장내의 배향은 전위를 일으키면서 배향한다. 단백질과 같은 거대분자는 결정화의 정도에 따라 자장 내에서 배향한다. 자장강도와 유기액정의 자장 내에서의 질서도가 규명된 이상 액정분자 응집체에 대한 응용이 앞으로 활성화 할 것으로 기대한다.
키워드; 1. 액정 2. 배향정열 3. 이미다졸 4. 유기전해질 5. 이방성배열
- 저자
- Resnati et al.
- 자료유형
- 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0
- 권(호)
- WO20100142445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22
- 분석자
- 박*학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