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암이나 전 암 증상을 치료하기 위한 비월주사법

전문가 제언
○ 화학요법 저항성과 세포주기점검 단백질과의 연관성을 연구한 솔크 연
구소 연구팀은 어떻게 세포주기점검(checkpoint)이 일부 암세포에서 지
연이 되고 이것이 DNA를 손상시키는 항암제 치료에 대한 저항성을 보
이게 하는지를 설명한 연구결과를 학술지에 발표하였다. 세포주기점검
활성의 종료는 세포 주기 진행의 시작을 위한 필수적인 과정으로. 이
결정적인 과정을 이해하는 것은 화학요법에 대한 임상적 저항성을 예
견할 분자적 표지 자나 부작용이 더 적은 항암제 개발에 도움이 된다.

○ 진핵 세포는 DNA 손상에 대한 반응에서 복제를 멈추고 세포주기점검
경로를 활성화시키는데 만약 수선이 되지 않으면, 이 오류는 분열을 시
도하거나 게놈이 불안정해져 암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 과정의 핵심적
인 역할은 세포주기점검 단백질인 checkpoint kinase 1(Chk1)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 단백질은 저산소증, DNA-손상 유도 항암제, 방사선 조
사 등에 의해 유도되는 스트레스적 반응에 작용한다.

○ Array Bio Pharm 은 새로운 Chk1 저해제를 확인하였으며 이 화합물들
이 암과 같은 과 증식질환 뿐 아니라 신경퇴행성질환, 심 비대, 통증,
신경손상질환 치료 및 예방에 유용함을 입증하였다. 최근 보고에서는
Chk1 저해제가 p53 돌연변이 세포에서만 작용함을 밝혔다. 즉, p53
결핍세포에서는 S와 G2 조절점을 정지시키는 반면 p53이 작용하는 세
포에서는 작용하지 않고 정상세포에는 영향을 주지 않아 부작용을 낮
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본 발명의 비월주사 법은 G1/S 세포주기 체크포인트에서 세포의 임상적으로 적절한 분획에 대한 세포주기를 억제하는 것이 치료목표이며 이렇게 함으로서 항암효능이 증진될 수 있을 것이며 부작용이 없는 새로운 맞춤형 화학요법제의 개발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저자
KROUSE, Andrew J., GRAY, Lloyd S., MACDONALD, Timothy, LINDEN, Joel,
자료유형
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0
권(호)
WO20100141842
잡지명
PCT특허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24
분석자
신*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