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목재 펠릿 시장의 통합 - 주거 부문
- 전문가 제언
-
○ 에너지 시장 통합화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이점은 시장 효율 향상, 시장 다각화 등이다. 시장 통합 정도는 각국 시장간 가격 관계를 통해 정량화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로는 통합화 시장에서는 지역간 운송 비용 차이는 허용되더라도 전지역이 동일 가격을 가져야 한다는 단일 가격 법칙(LOP; Law of One Price)이다. 어떤 두 개 시장에서 LOP가 유효한 경우에, 그 두 시장은 통합된 것으로 간주한다. 이러한 근거, 각국의 시계열(time series) 가격 데이터, 공적분 분석 기법 등을 결합하면, 가격 통계로부터 시장 통합화 정도가 파악될 수 있다.
○ 향후 에너지 시장 통합화의 검증성을 높이기 위해 시장 성장에 따라 발생하는 많은 양의 데이터 가운데서 대량의 양질 데이터를 수집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 목재 펠릿 시장의 통합을 촉진하는 교역 촉진 요인으로는 수요 부문의 동일성, 통화/언어의 동일성, 기술 표준의 조화 등을 고려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자국 시장을 보호할 목적으로 국가간 시장 통합을 방해하려면 수요 부문의 이질성, 언어/통화의 상이성, 기술 표준 부재, 부적절한 의사소통, 금융 자본 접근성의 부족, 보호주의 정서 등과 같은 방해 요인을 강화시키면 가능할 것이다.
○ 우리나라는 산이 많은 나라이므로 버려진 목재가 풍부하다. 그러나 현재 이러한 폐목재의 재활용을 통한 목재 펠릿을 기반으로 하는 에너지 생산은 매우 빈약하다. 산림청에 따르면, 향후 2012년까지 농산촌 난방용 기름의 최대 20%가 펠릿으로 대체, 생산 용량은 연간 75만톤으로 확대될 계획이며, 2020년까지 신재생 에너지의 12%를 목재 펠릿으로 메우려는 목표가 있다.
○ 재스민 혁명에 따라 에너지 수급이 어려운 시기에, 목재 펠릿 이용 정책(예: 정부 보조금 지원)의 적극적인 활성화를 통한 주거용 보일러/난로, 대용량 화력 발전, 지역 난방, 열병합 발전 용도로 목재 펠릿 에너지 시스템의 표준화는 에너지 안보, 국민 삶의 질 향상에 일조할 수 있으리라 본다.
- 저자
- Olle Olsson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1
- 권(호)
- 35(1)
- 잡지명
- Biomass and Bioener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153~160
- 분석자
- 김*호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