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바이오틱의 작용기전
- 전문가 제언
-
○ 프로바이오틱이란 항생물질에 상대되는 개념으로 장내미생물의 균형을 개선함으로써 숙주인 사람과 동물에 대하여 유익하게 작용하는 균주를 말한다. 프로바이오틱의 작용기전은 숙주의 면역시스템을 조절하고, 다른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하고, 숙주의 독소산물을 제거함으로써 숙주를 방어하고 보호하는 세 가지 역할로 분류된다. 프로바이오틱의 효능은 프로바이오틱 세균 표면의 분자나 분비된 대사산물의 특성에 의존된다.
○ 프로바이오틱은 인체의약용 정장제와 유산균제제, 사료첨가제, 유산균 발효식품의 세 가지 제품형태로 판매되고 있다. 최근 프로바이오틱은 항생물질과 항염증성 의약품으로 점점 더 관심이 고조되고 있지만 아직 그 작용기전에 대한 이해는 미흡하다. 모든 프로바이오틱 균주의 효능은 동일한 것이 아니고 균주마다 독특한 특성이 있기 때문에 사용하는 목적과 질병의 예방 및 치료에 적합한 균주를 탐색하여야 한다.
○ 프로바이오틱에 관한 국내 기초연구로는 한국발효식품에서 유산균의 분리 및 특성분석, B. polyfermentucus KJS-2의 프로바이오틱으로서의 특성, L. acidophilus A12의 배지 최적화, H. pylori를 억제하는 김치유산균의 분리와 특성 규명, 생균 프로바이오틱 세균의 미세코팅 등이 있으며 효능연구로는 Lactococcus 균주에 의한 장내세균의 생체내외 실험, 유산균의 알레르기 병을 예방 및 치료하기위한 면역시스템의 역할, 과민성 장 증후군 환자에서 프로바이오틱의 효과 등이 있다.
○ 현재는 미생물의 유전체, 전사체, 단백질체, 분비체를 비교분석할 수 있기 때문에 아직 밝혀지지 않은 프로바이오틱 특성을 동정하고 특성화하면 유망한 프로바이오틱을 분리, 선별할 수 있다. 국내에서도 인체나 가축의 건강에 유익한 프로바이오틱 균주의 개발이 이미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다. 앞으로 프로바이오틱의 효능은 동물과 사람을 포함한 생체실험을 통하여 입증되고 그 기전이 명확하게 밝혀져야 한다.
- 저자
- Tobias A. Oelschlaeger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0
- 권(호)
- 300
- 잡지명
- International Journal of Medical Microbi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57~62
- 분석자
- 민*익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