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의 미래 사회로의 공헌
- 전문가 제언
-
○ 본 연구는 2008년부터 2009년도에 걸쳐 실시된 일본의 「제9회 미래를 지탱하는 과학기술의 예측조사」를 바탕으로 종전의 과제해결 형식을 지향해서 학제적인 어프로치를 통해 과학기술의 미래사회로의 공헌에 대해서 종합ㆍ정리하였다.
○ 특히 미래과제의 해결을 위해서 과학기술ㆍ이노베이션정책에 있어서 무엇을 다루어야 할 것인가를 분명히 하는 것으로서 여기서 목표로 하는 방향성의 이미지를 갖고 상정되는 글로벌과제, 국민적과제를 해결해 나가기 위한 과학기술을 논의의 중심으로 하고 기존분야의 테두리 안에서 검토를 실시한 것이 특징적이다.
○ 본 조사에 있어서는 과학기술의 진전에 따라 ①각종 진단시스템이 생활 속에 진행되기 시작한 사회, ②인간이 온난화 방지나 환경보전에 적극적으로 관련되게 되는 사회, ③환경변화가 가져오는 여러 가지 재해에 대응하기 시작한 사회가 된다고 예측하고 있다.
○ 특히 이노베이션이 기대되는 큰 방향성으로서 에너지ㆍ자원ㆍ환경 관련 그린 이노베이션과 건강ㆍ의료 관련 라이프 이노베이션이 제기되고 있으며, 이노베이션의 추진요건으로서 그린 이노베이션은 통합화ㆍ시스템화를 촉진할 수 있는 인재육성 그리고 라이프 이노베이션에서는 개인의 건강ㆍ의료 정보에 근거한 개별화와 예방 의료의 촉진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 우리나라는 1993년 이후 2005년까지 3차례 과학기술예측을 실시한 바 있으며, 예측기법도 최근 시나리오분석, 환경스캐닝기법들이 적용되어 많은 진전이 있으나, 아직도 정부의 정책형성에 직접적으로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일본과 같이 과학기술의 발전방향과 사회적 니즈가 일치될 수 있도록 경제ㆍ사회적 수요에 부응하는 예측기법이 개발되어야 하겠다. 이를 위해서는 기존분야의 테두리에 얽매이지 않고 글로벌과제ㆍ국민적 과제가 추출될 수 있도록 주기적인 평가를 통한 개선점의 도출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 저자
- NISTEP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과학기술일반
- 연도
- 2010
- 권(호)
- ,(,,)
- 잡지명
- NISTEP Report No.145
- 과학기술
표준분류 - 과학기술일반
- 페이지
- 1~119
- 분석자
- 최*상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