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새로운 유기 형광색소의 개발과 응용

전문가 제언
○ 유기색소(고도로 π 공액성)는 흡수된 광 에너지에 의해 들뜬상태로 되 고 이어서 흡수한 에너지는 형광으로 방출된다. 이와 같은 유기색소는 형광색소(fluorescence dye)라고 부르며 어떤 파장의 빛으로 들뜨게 하면 그보다 장파장의 형광을 발생하므로 형광증백제나 형광마커용 색소 등의 형광지시약 및 임상진단용 색소 등으로 사용된다.

○ 새로 개발된 형광재료는 트리아졸(triazole) 또는 옥시디아졸(oxadi azole)을 기본골격으로 한 저분자형의 유기 형광색소를 개발하였다. 실험결과는 Stokes shift가 넓어서 높은 고체 발광성을 나타낸다. 또한 열 안정성을 위한 비교평가는 시판 형광색소(쿠마린 6, 로다민 B)는 50시간 후에 대부분 흡광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신규 녹색 형광색소(그린 520, 적색 형광색소 RED 610)는 50% 이상의 잔존율과 형광양자 수율은 0.7 이상을 나타내었고 높은 안정성을 가지고 있다.

○ 근년에는 색?파장 변환재료로서 디스플레이 용도로는 청색광원을 녹색광이나 적색광으로 변환하여 full color 표시를 할 수 있다. 또한 태양전지 용도로는 태양광 중에서 유효하게 사용되지 않는 단파장 광을 감도가 높은 파장의 광으로 변환시켜서 광전변환효율을 높일 수 있다.

○ 유기 EL은 발광성의 유기물이 전기의 자극을 받아서 발광하는 현상이다. 스스로 밝게 발광하여 다양한 발광색이 얻어지며 얇은 면상으로 발광체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차세대의 평면 판넬 디스플레이로서 그 실용화가 진행되고 있다.

○ 시장조사 업체인 디스플레이서치에 따르면 차세대 조명기구를 포함한 OLED의 디스플레이 세계 시장은 연평균 40% 이상 성장하여 오는 2015년 60억 달러 이상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정부와 산업계는 LCD에 이은 OLED의 주도를 위해 더욱 기능화가 요구되는 기초소재인 형광 유기 EL 물질을 비롯한 광학재료의 특성 향상을 위한 재료의 분자설계 기술과 새로운 소자구조의 기술발전 전략이 요구 된다.
저자
Shin-ichi Kawashim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1
권(호)
40(2)
잡지명
ファインケミカル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52~57
분석자
이*복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