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광석 또는 폐기물로부터 금속 추출을 위한 신기술

전문가 제언
○ 낮은 품위의 광석과 폐기물로부터 금속을 추출하기 위하여 활용할 수 있는 전통적인 습식 및 건식야금기술은 높은 공정에너지의 사용과 함께 수반되는 환경오염물의 발생으로 많은 문제를 갖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용매의 재활용이 가능한 새로운 방법으로써 유기리간드가 함유된 초임계유체를 활용하여 금속을 추출하는 기술과 기상의 유기리간드를 이용하여 휘발성 금속착물을 생성시키고 이로부터 금속을 회수하는 기술이 새로이 개발되고 있다.

○ 유기리간드와 초임계유체를 활용하는 금속추출법은 유기용매 추출 공정 중에 생성되는 착물을 초임계유체 회로에 투입하여 처리하도록 추출공정을 보완한 것인데, 현재까지의 연구에 의하면 초임계유체에서 금속리간드의 낮은 용해도 때문에 액체나 고체 마트릭스로부터 미량의 중금속만을 추출하는 것에 집중되고 있다.

○ 기상 유기리간드 유동층 반응에 의한 킬레이트화 기술은 추출공정에서 금속종의 분화가 대단히 중요한데 이의 실현을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현재는 오염된 토양이나 플라이애시와 같은 시료로부터 중금속을 제거하는 것에 초점이 맞추어져 대부분의 연구가 이루어진 반면에, 광석으로부터 금속을 회수하려는 연구는 매우 미진하다.

○ 금속의 기상추출법은 아직 초보단계에 있는 기술로 판단되며, 이를 플랜트 규모로 활용하기 위하여 적정한 유기리간드의 선택 및 개발, 여러 종류의 고상폐기물에 대한 실험데이터 축적, 금속소재의 회수뿐 아니라 사용된 용매를 재생하여 활용하는 방법의 도출, 추출공정을 충분히 분석하고 예측할 수 있는 이론모델의 확립 등이 필요하다.

○ 국내에서는 극히 제한된 기본연구가 수행된 바는 있으나 매우 미미하고, 낮은 품위 또는 난분해성의 광물자원은 물론 폐기물로부터 환경적인 부하 없이 고부가의 금속소재를 확보하기 위한 연구가 되어야 할 것이다.
저자
Y. Chen, E.R.M. Mariba, L. Van Dyk, J.H. Potgieter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1
권(호)
98
잡지명
International Journal of Mineral Processing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1~7
분석자
정*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