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바이오틱의 식품에의 응용
- 전문가 제언
-
○ 프로바이오틱이란 항생물질에 상대되는 개념으로 장내미생물의 균형을 개선함으로써 숙주인 사람과 동물에 대하여 유익하게 작용하는 균주를 말한다. 프로바이오틱의 작용기전은 숙주의 면역시스템을 조절하고, 다른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하며, 숙주의 독소산물을 제거함으로써 숙주를 방어하고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프로바이오틱의 효능은 프로바이오틱 세균 표면의 분자나 분비된 대사산물의 특성에 의존된다.
○ 국내에서 프로바이오틱은 세 가지 의미로 사용한다. 인체 의약용인 정장제나 유산균 제제, 사료첨가제로서의 생균제, 건강식품의 일종인 유산균 식품이다. 어느 경우든 프로바이오틱 미생물은 유산균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유산균 식품은 유산 간균, 유산 구균, 비피더스균 등의 생균을 배양하여 식품에 혼합한 것을 안정적이고 섭취가 용이하도록 분말, 과립, 캡슐 등으로 만든 것이다.
○ 프로바이오틱은 식품 중에서도 주로 건강식품에 응용되고 있지만 최근에는 의료 및 화장용 소재, 사료첨가제, 외래유전자의 발현시스템과 생백신개발, 천연항균물질과 당류의 발효생산에도 이용되고 있다. 지금까지 알려진 대표적 프로바이오틱 미생물로는 세균(Lactobacillus, Bifidobacterium, Bacillus, Clostridium, Streptococcus, Bacteroides, Enterococcus, Propionibacterium, E. coli), 효모(Saccharomyces, Torulopsis)와 곰팡이(Aspergillus)등이 있다.
○ 지난 20년간 프로바이오틱의 건강효능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추진되었다. 그러나 건강한 사람에 대하여 프로바이오틱 효능을 입증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과제로 남아있다. 프로바이오틱 제품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세포의 안전성과 생존력은 물론 프로바이오틱 기능성과 경제성이 고려되어야한다. 앞으로 생체연구에서 관련 기능성을 입증하고 프로바이오틱 제품을 합리화하기 위해서는 건강과 질병에 대한 바이오마커의 탐색은 매우 중요하다.
- 저자
- I. Jankovic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0
- 권(호)
- 21
- 잡지명
- Current Opinion in Biotechn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175~181
- 분석자
- 민*익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