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지 가까운 Ural에서 Au, Pd 및 REE의 이동과 광상성인
- 전문가 제언
-
○ 금을 위시하여 광물들은 여러 작용에 의하여 생성된다. 가장 일반적인 광물생성작용은 마그마로부터의 정출이다. 마그마란 암장이라고도 하며 지하에서 암석이 고온으로 가열되어 용융된 것으로 복잡한 규산염 용융체에 휘발성 성분이 섞여있는 것이다. 마그마의 온도가 내려가면 그 속에 녹아 있던 성분이 결합하여 감람석, 휘석, 각섬석, 사장석, 정장석, 운모, 석영 등이 어떤 일정한 순서대로 정출된다.
○ 마그마가 고결되어 암석이 형성된 후에 남은 잔류용액 및 열수광화용액으로부터도 광물이 침전되어 각종 유용광물이 생성된다. 또한 온천수, 해수, 지하수로부터 그 속에 녹아 있던 성분이 침전하여 광물이 만들어진다. 이미 만들어진 광물들이 변성작용을 받아 새로운 광물이 만들어지기도 한다. 최근에는 인공적으로 광물을 실험실에서 합성하는 연구가 많이 이루어져서 광물의 생성환경에 대한 이해가 넓어졌다.
○ 광화유체(ore-forming fluid)는 물이 주성분이 되어 금속원소 등 유용성분이 녹아있어서 광화유체라 한다. 온도, 압력이 낮아지면, 함유된 성분들이 침전하여 기성광물이 정출된다. 물의 기원에는 마그마로부터 초생수, 퇴적암 속의 흡착수, 천수 등 여러 가지가 있다. 수용액인 경우가 많으며, 광화용액, 광액 및 열수용액 등으로 불리 운다. 이 속에는 금속원소 등 유용성분이 녹아 있으므로 광화유체라 한다. 이 유체가 지각 속을 상승하면서 온도, 압력이 낮아지면 그 속에 함유된 성분이 침전하게 된다.
○ 교대광상(metasomatic deposit)은 금속 및 기타 광물을 운반하는 광화유체가 기존 암석과 반응하여 암석이 바뀌어 생성된 광상으로, 서로 다른 시기에 광물들이 생성되었다. 접촉교대광상 및 열수성교대광상이 있다. 마그마가 석회암, 고회암 등이 많은 지역에 관입하여 고결할 때는, 기성기의 광화가스나 광화용액은 접촉부에 있는 탄산염암에 침투, 반응을 일으켜 교대광상을 형성한다. 이때에 중석, 몰리브덴, 금, 구리, 아연, 납, 철 등 여러 가지 금속광물을 생성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광상을 접촉교대광상이라 한다.
- 저자
- N.S. Gorbachev, T.P. Dadze, G.A. Kashirtseva, and A.F. Kunts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0
- 권(호)
- 52(3)
- 잡지명
- Geology of Ore Deposit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215~233
- 분석자
- 황*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