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선박용 복합소재

전문가 제언
○ 본 논문에서는 선박용 복합소재에 관련된 최신의 연구 동향과 일부 결과를 소개하였다. 주 내용으로는 설계의 자동화, 표준화, 화염억제 방법, 무결성을 유지하기 위한 구조 결함의 모니터링, 재생가능성, 표면 겔-코팅 등에 대한 최신의 연구결과들로서 박용 복합소재의 연구계의 관심과 연구경향을 잘 요약하였다. 우리나라의 조선업계에서도 유사한 문제들과 씨름하고 있을 것으로 리뷰 대상 논문은 참고할 만 한 가치가 있다고 여겨진다.

○ 리뷰 논문에서 복합소재 구조물의 구조 결함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기존의 표면에 센서를 부착하거나 표면 스캐닝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복합소재 내부에 센서를 제작공정 증에 매립하는 방법을 사용한 결과를 소개하였다. 그러나 단순하고 작은 구조물에는 사용이 가능하나, 구조물의 크기가 상당히 크고 형상도 복잡한 경우에는 상당히 많은 수위 센서가 필요하며 정확한 위치에 매립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므로 실제 적용에 어려움이 예상된다.

○ 이들 중 가장 중요한 토픽은 표준화일 것이다. 표준화를 통하여 산업과 기술이 발전하고 안전이 보증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노르웨이 표준협회(DNV)의 노력은 귀중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표준화를 통하여 기술을 주도하고 산업을 주도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기술을 가지고 표준화를 이루거나 참여한다면 그만큼 우리나라의 그 분야 산업의 경쟁력이 높아지는 것이므로 우리나라도 선박용 복합소재 관련 국제 표준화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필요가 있다.

○ 복합소재 재생의 문제는 지금 환경문제로 관심의 주제로 떠오르고 있다. 현재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은 수명이 다한 차량이나 항공기로부터 복합소재를 회수하여 재사용하는 것으로 본 리뷰대상 논문과는 거리가 있다. 리뷰논문에서는 국부적으로 파괴된 부분을 유지 보수하는 개념으로 접근하고 있다. 대학연구실에서 금속 구조물을 용접하듯이 파괴된 부분을 국부적으로 가열하여 접합하는 방식을 소개하였는데 실용화될 수 있다면 복합소재 구조믈의 수명을 연장하게 되므로 실용화 연구가 후속되어야할 것이다.
저자
George Marsh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밀기계
연도
2010
권(호)
54(4)
잡지명
Reinforced Plastics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밀기계
페이지
18~22
분석자
김*훈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