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풍력에너지 현황 및 터키 운용사례
- 전문가 제언
-
○ 에너지수요의 증가, 기존 에너지 자원의 고갈 및 기존 에너지로 발생되는 공해 등으로 말미암아 새로운 신재생에너지에 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또한 기술발전은 전 세계의 에너지 수요증대를 촉진시키고 있으며, 그중에서 풍력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더욱 고조되고 있다.
○ 세계 풍력에너지기구(WWEA : World Wind Energy Association)가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2008년 세계 풍력발전 연간 성장률은 29%로서 풍력에너지설비의 총 설치용량은 120.8GW이고, 2020년에는 1500GW로 10배 이상 증가할 전망이다. 작년 우리나라 풍력발전용량은 0.34GW로서 세계 28위에 불과하지만 최근 정부의 적극적 지원정책으로 크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 2010년 11월 지경부가 발표한 해상풍력 로드맵에 따라 해상풍력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기 개발 중인 육상풍력 기술을 해상풍력에 접목하고 해양과 관련된 기술을 추가로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이는 개발 프로젝트와 실증단지 건설 등 국가차원의 지원에 의해 가능하다. 또한 정부 주도로 기술개발 완료단계인 2MW이상의 대형 풍력시스템에 대한 상업운전실적을 확보하기 위해 초기시장 창출 차원에서 40MW 규모의 대형풍력 시범단지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 국내 풍력산업의 육성정책은 대규모 실증 및 상용화단지를 구축하여 풍력시스템 기술실적을 확보하고, 로터 블레이드, 증속기, 주축베어링, 풍력제어장치와 같은 핵심부품 국산화 개발을 주도하여야 한다. 또한 구매조건부 R&D를 도입하고, 개발기술에 대해 실증까지 지원함으로써 시스템-부품산업간 공동 R&D 및 사업화를 유도하여야 한다.
○ 국내 지자체들이 경쟁적으로 풍력발전단지를 조성하고 있는 점은 바람직하지만, 풍력발전 시스템업체와 부품업체들이 동참할 수 있도록 기업지원활동을 동시에 수행하여야 하며 산학연관의 협력 하에 국내 풍력산업의 발전을 기대한다.
- 저자
- Cumali Ilkilic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11
- 권(호)
- 39
- 잡지명
- Energy Polic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961~967
- 분석자
- 나*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