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세포 대사체학
- 전문가 제언
-
○ 최근의 발견들에 의하면 일련의 세포 집단에서 세포들은 한 시점에서 물질대사 작용에서 여러 표현형들을 나타낸다. 집단적인 대사체 연구에서 질량분광법이 성공적으로 사용됨에 따라 집단적인 평균값 속에 묻혀있는 물질대사적인 현상들을 연구하기 위한 질량분광법에 기초한 단세포 대사체학에 대한 노력이 시작되고 있다.
○ 본고에서는 이에 관한 분석 기술들을 소개하고 있다. 상당한 진전이 있는 다른 분야의 과학 기술들이 물질대사상의 세포간의 이질성에 대한 탐색과 연구에 유용하게 이용됨으로써 분석 자료들이 만들어질 단계에 있다.
○ 단세포들의 생화학적 분석은 세포 대사작용, 세포 사이클, 적응, 질병 상태 등을 이해하는 데 중요하다. 같은 종류의 세포들이라도 그 세포들이 처한 생리적인 조건과 환경에 대한 적응으로 이질적인 생화학적 표현형을 나타낸다.
○ 질량분광법에 기초한 단세포 대사체 분석에는 Micropipetting & injection into ESI-MS 기술, Microfluidic Sample Prep & MALDI-MS 기술, Cell Arraying & MALDI-MS 기술, MALDI-MS (SIMS) Imaging of Tissues/Cells 기술 등이 사용되고 있다.
○ High-throughput 실험 기법의 발전과 이를 기반으로 하는 유전체, 전사체, 단백체, 대사체(metabolome) 및 흐름체(fluxome) 등의 정보를 통해 시스템 차원에서 생물체를 이해하고자 하는 시스템 생물학(system biology)의 중요성도 부각되고 있다. KAIST 생명화학공학과/바이오시스템학과/생물정보연구센터에서는 '원핵세포의 시스템 생물학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 세포 내에서의 대사물질들은 기술적인 문제 등으로 실험을 통해서도 발견하기 어려운 대사물질이 많다. 앞으로의 대사체 관련 연구는 알려진 대사물질의 농도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하는 일과 새로운 대사물질들에 대한 분석 방법들이 개발되어야 한다.
- 저자
- Matthias Heinemann and Renato Zenob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1
- 권(호)
- 22
- 잡지명
- Current Opinion in Biotechn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26~31
- 분석자
- 장*용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