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고압 합성 다이아몬드의 신 전개

전문가 제언
○ 합성 다이아몬드를 생산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가 있으며, 고온고압(HPHT)과 화학기상증착(CVD) 방식이다. 공업용 다이아몬드의 90% 정도는 고압고온에서 인공적으로 제조된 분말상의 합성 다이아몬드이며, 1955년 GE사의 방법을 기본으로 한다. 1970년경에는 다이아몬드 분말에 Co 등의 결합재를 이용하여 고압 소결한 다이아몬드 소결체가 실용화되었다.

○ 현재 보석용으로 생산되는 다이아몬드는 2캐럿 이하의 황색 Ⅰb형이 많다. 황색의 원인이 되는 질소의 침투를 막아주는 N-getter(Ti, Al)를 이용하여 무색의 Ⅱa형 다이아몬드나 붕소를 첨가한 청색의 Ⅱb형 다이아몬드를 제조하기도 한다. 일부 합성 다이아몬드는 성장 후에 고온고압과 방사선 처리를 하면 greenish yellow, pink, red, purple색으로 변하기도 한다.

○ 이 문헌에서는 새로운 제조방법으로 온도차법과 촉매 없이 흑연을 고압·고온 하에서 직접 다이아몬드로 변환시키는 방법에 대해 설면하고 있다. 흑연을 직접 다이아몬드로 변환하는 방법은 촉매를 이용하는 방법에 비해서 높은 압력 조건이 필요하다. 예로 15㎬에서는 1500℃ 전후에서 변환이 시작되며, 2200~2300℃ 이상에서 완전히 다이아몬드로 변환한다. 변환과 동시에 소결시키면 투광성을 가진 다이아몬드 단상(무 바인더)의 다결정체가 제조된다.

○ 국내는 일진 그룹이 다이아몬드 연구 개발에 성공하고, 제품을 생산 중이다. 현재는 세계 3대 제조업체로 성장하여 세계 시장의 약 17%점유하고 있다. 다이아몬드에 대한 연구는 약간 정체였으나, 2000년 이후 많이 활성화 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는 제조연구나 다이아몬드를 활용한 제품개발은 낙후된 상태로 보인다. 향후 초경공구, 박막코팅을 활용한 다양한 분야와 특히 IT 분야에 등 산업적 응용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연구개발 투자가 요구되고 있다고 본다.



저자
Hitoshi Sumiy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0
권(호)
76(12)
잡지명
精密工學會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1319~1323
분석자
김*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