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발생되는 식품오염 물질
- 전문가 제언
-
○ 세계 각국들이 식품 안전을 위해 모든 노력을 집중하고 있다. 이것은 산업발달, 새로운 영농, 환경오염 및 기후변화 등에 따라 식품 속에 다양한 오염물질이 증가하고, 이에 따른 식품 안전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증가하는데 따른 결과이다. 1963년 FAO와 WHO에 의해 국제 식품 규격위원회(Codex)가 설립되어 식품에 대한 표준규격 및 시행 지침서를 만들었다. 이에 따라 미국, EU, 일본, 호주, 한국 등 각국에서도 식품 오염물질에 대한 시험방법 및 규제치를 설정하여 시행하고 있다.
○ 기존의 식품 오염물질은 중금속, 어패류 독성, 다이옥신을 포함한 환경 오염물질, 멜라민 등 기타오염물질 등으로 구분되며, 이에 대한 분석법은 시료 유형에 따라 ICP-AES, 생체분석법, GC-MS, LC-MS 등의 방법이 적용되어 왔다. 최근 발생되는 식품 오염물질인 PFCs, PBDEs, 나노물질 및 의약품 잔류 항생제 등이 식품에 유입되고 있다. 또한, palytoxin, spirolide, okadaic acids 등의 새로운 해양 생물독소가 이태리, 스페인 등 유럽 국가의 홍합 등 조개류에서 최근 발견되고 있다.
○ 이들 오염물질에 대한 분석법은 시료 유형에 따라 LC-MS-MS, GC-ITD-MS, 생체분석법, 면역분석법, 바이오센서 등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지만, 이들 방법에 대한 유효성 및 신뢰도는 확립되어 있지 않다. 향후 이에 대한 보완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PFCs와 같은 몇몇 오염물질은 면역 반응이 없기 때문에 생물학적 분석법을 개발할 수 없다. 또한 해양 생물독소에 기기분석법을 적용할 때 표준물이 없다는 것이 약점이다. 초기단계에 있는 식품 중 나노입자 분석기술을 확립하는 것도 요구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생물학적 분석법과 기기분석법을 조합하여 개발하는 것이 크게 권고되고 있다.
- 저자
- Lina Kantiani, Marta Llorca, Josef Sanchis, Marinella Farre, Damia Barcelo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0
- 권(호)
- 398
- 잡지명
- Analytical and Bioanalytical Chemistr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2413~2427
- 분석자
- 조*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