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2형 당뇨병의 공복 및 식후 고혈당을 일으키는 발병론

전문가 제언
○ 2형 당뇨병의 원인은 너무 많지만 가장 중요한 기작인 내재성 당 생성만을 기술해 많은 2형 당뇨병 환자들이 본인의 혈당조절이 안 되는 원인들을 이해할 수 있다. 이 발병기작을 이용해 음식섭취를 절제해야 하는 이유를 깊이 이해할 것이다.

○ 그러나 비록 내재성 당 생성 억제가 크게 감소해 인슐린저항이 있더라도 다리 근육은 당 소비를 가장 많이 하는 곳이고 운동은 인슐린과 관계없이 당 소비를 촉진하기 때문에 혈당을 급격히 낮춘다. 때문에 운동을 통해 혈당을 조절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 간에서의 내재성 당 생성기작 결함 외에 다양한 2형 당뇨병 발생기작 및 원인을 규명해야 한다. 그래야만 개인마다 특이한 대사결함 등으로 발생한 당뇨병을 치료할 수 있는 치료제를 개발할 수 있다. 이런 치료제는 부작용을 크게 줄이고 효능이 보다 우수하다. 이런 개발과정을 거치면서 개별 2형 당뇨병 환자에 알맞은 맞춤형 치료제 및 치료법 개발이 가능하다.

○ 정상인에서 글루카곤은 인슐린분비를 증폭시켜서 혈당을 바르게 조절한다. 그러나 당뇨한자에서 글루카곤이 있지만 인슐린분비가 느리고 적어 이 원인을 밝혀야 내재성 당 생성으로 인한 당뇨병 발병을 방지할 치료제를 개발할 수 있다.

○ 비 당뇨 비만인과 2형 당뇨인이 갖고 있는 내재성 당 생성을 식이요법과 운동을 통해 얼마나 줄일 수 있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들 방법은 인슐린 저항을 감소시키고 근육에서 당 소비를 높여 혈당을 조절한다. 식이 요법과 운동의 효과가 부족하면 약물치료를 병행해야 할 것이다.
저자
Robert A. Rizz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0
권(호)
59
잡지명
Diabetes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2697~2707
분석자
윤*욱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