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eland의 지속적인 지열이용 사례
- 전문가 제언
-
○ 지열에너지자원(Geothermal energy resources)은 전력 생산과 난방을 위해 지속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지구 내부의 열에너지이다. 지열에너지의 기원은 지구의 내부와 그 속에서 일어나는 물리적 과정과 연계되어 있다. 이 열은 열전도와 심부에서 지각으로 올라온 관입암체에 의해 지표로 이동된 것으로, 지하수가 열수자원의 형태로 가열된 것이다.
○ 지구상에서는 총 72개 국가에서 지열에너지를 직접 이용하고 있으며, 연간 총 이용량은 75,943GWh/y로, 유류 1억7천만 Barrel(2,540만톤)을 매년 절약한 것과 같으며, 대기 중으로 방출되는 CO2가스 2천 400만톤을 매년 줄이는 결과가 된다.
○ 150℃ 이상의 고온성 지열에너지자원의 가장 중요한 이용형태는 지열 발전이지만 중∼저온성의 지열에너지자원은 온도 영역별로 다양하게 직접 이용되고 있으며, 고온성 지열자원도 지열발전 후의 폐열수를 건물난방, 온실난방, 양어장 난방, 수영장 난방 등에 이용하여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있다.
○ 국제에너지기구(IEA; International Energy Agency)에 의하면 1996년 세계 총 전력 소모량은 1,370만GWh로 지열발전이 차지하는 비율은 0.4% 이하이었으며, 2000년 이후 2005년까지 지열발전 시설용량은 960MWe가 증가하여 연평균 190MWe가 증가하였을 뿐이었다.
○ 세계 지열발전 5위권 국가현황은 시설용량, 연간 발전량, 연간 에너지 생산량 등에서 1위가 미국, 다음으로 Philippines, Mexico, Indonesia, Italy의 순이며, 국가 전력 비중에서는 China가 30%로 1위(Tibet 포함)이며, 다음으로 Portugal(25%), Iceland(13.7%), Philippines(12.7%), Kenya와 Nicaragua가 각기 11.2%로 5위를 보이며, 국가 에너지 비중에서도 역시 China가 30%로 1위이며, 다음 El Salvador(22%), Kenya (19.2%), Philippines(19.1%), Iceland(17.2%) 순으로 그 비중은 대단히 낮은 편이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아직 지열발전이 전무한 것이 아쉽다.
- 저자
- Gudni Axelsson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0
- 권(호)
- 39
- 잡지명
- Geothermic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283~291
- 분석자
- 오*수
- 분석물
-